올해 위례신도시에서 4700여 세대가 공급된다. 모두 수변공원 위쪽에 있는 북위례 중대형 물량으로 서울 송파구와 인접해 있어서 남위례보다 입지여건이 좋다는 평가를 받는다. 행정구역상 송파권과 하남권 두 지역에 걸쳐 있기 때문에 청약조건과 대출, 분양가 등을 꼼꼼히 따져봐야 한다.
11일 부동산인포에 따르면 위례신도시 북위례에서 올해 7곳 4733세대가 신규 물량으로 공급을 앞두고 있다. 육군 특전사령부지 이전이 지연되면서 연기됐던 물량이다. 이 가운데 송파권에서 호반건설, 계룡건설 등이 3곳 1883세대를, 하남권에서 우미건설, 현대엔지니어링, 중흥건설 등 4곳 2850세대를 내놓을 예정이다.
위례신도시(677만4628㎡ 규모)는 서울 송파구 장지동·거여동, 성남시 수정구 창곡동, 하남시 학암동 일대 등 3개 지역에 조성 중이다. 서울과 하남, 성남 등 3개 지역에 걸쳐 들어서다보니 동일한 위례신도시 아파트여도 주소지에 따라 당첨확률이 크게 달라진다.
◆지역우선물량, 예치금액, 분양가 등 달라
행정구역상 위례신도시 내 서울 송파구는 청약 물량의 50%를 서울 1년 이상 거주한 사람에게 우선 배정한다. 나머지는 서울 1년 미만 거주자와 경기·인천 주민에게 돌아간다. 경기 하남을 주소지로 하는 단지는 하남시에서 1년 이상 산 사람에게 30%를, 경기도 6개월 이상 거주자에게 20%를 배정한다. 나머지 절반은 경기 6개월 미만 거주자와 서울, 인천 시민에게 배정한다.
청약 예치금액도 다르다. 서울은 전용면적 85㎡ 이하 300만원, 102㎡ 이하 600만원, 135㎡ 이하 1000만원, 모든 면적 1500만원이지만 경기도는 면적별로 각각 200만원, 300만원, 400만원, 500만원만 예치하면 된다. 또 서울 송파구는 청약조정대상지역, 투기과열지구 외 투기지역으로도 지정됐기 때문에 기존주택에 대출이 있으면 대출 자체가 이뤄지지 않는다. 기존주택을 2년 이내에 처분한다고 약정할 경우에는 대출을 받을 수 있다.
희비가 갈리는 부분은 바로 분양가다. 행정구역상 송파권은 하남권보다 택지비가 3.3㎡당 300만~500만원 비싼 덕분에 송파권 분양가가 높을 수밖에 없다. 게다가 3월부터 기본형 건축비 상한액이 2.25% 인상돼 앞으로 송파권에서 나올 아파트 분양가는 3.3㎡당 평균 2000만원 중반까지 오를 가능성이 높다. 이렇게 되면 분양가가 대부분 9억원을 넘고, 중도금 대출 자체도 어려울 전망이다. 하남권도 기본형 건축비 상한액 인상의 영향은 받겠지만 송파권에 비해 분양가 메리트는 여전히 높다.
권일 부동산인포 팀장은 "현재 위례신도시에 입주한 중대형 아파트 값이 평균 3000만원을 넘고 있기 때문에 여전히 '로또 분양'으로 불리고 있다"며 "행정구역에 따라 당첨확률이나 대출이 크게 좌우될 수 있어 자신에게 유리한 지역을 확인하고 시세 차익을 극대화할 것인지, 생활편의성을 우선 둘 것인지 판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하남권 공급 이달 말부터, 송파권은 이르면 다음달에 나와
분양은 하남권에서 먼저 나온다. 현대엔지니어링은 이달 말 하남시 위례신도시 A3-4a블록에서 '힐스테이트 북위례'(전용 92~102㎡, 1078세대)를 공급한다. 우미건설은 다음달 A3-4b블록에서 '위례신도시 우미린 1차'(전용 102~144㎡, 875세대)를 내놓는다. 10월에는 위례신도시 A3-2블록에서 '위례신도시 우미린 2차'(422세대)가 나온다.
송파권 분양은 이르면 다음달부터 시작
[디지털뉴스국 이미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