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금융권 관계자는 "산업은행이 실물경제와 특정 산업에 대한 이해도가 현장보다 부족할 수밖에 없고 수많은 기업을 관리하는 데도 한계가 있는 만큼 은행법 규제를 받지 않는 자산관리 자회사를 별도로 설립하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그동안 각계에서는 산은이 우리 경제에 막대한 영향을 미치는 특정 기업 주식을 장기간 보유하는 게 합당한지에 대해 반대 목소리가 있었다.
지금까지 산은은 구조조정 기업을 대상으로 유동성 지원이나 부채비율 조정 등 재무적 구조조정에 관여했지만, 부가가치가 있는 사업부문을 따로 떼어내거나 구조조정을 하는 것은 별도로 최고경영자(CEO)를 지정해 맡기는 형태를 취해왔다. 이 과정에서 CEO의 전문성이 논란이 되기도 하고, 산은은 기본적으로 은행인 만큼 채권단이 추가 자금을 지원하는 데도 제약이 많았다. 자산관리 자회사 설립은 이 같은 한계를 극복하고 구조조정과 매각의 효율성을 높이기 위한 시도다.
금융당국은 자산관리 자회사가 설립되면 우선 산은이 경영권을 행사할 수 있는 비금융 자회사 지분을 이 자회사로 옮기고 사업부문의 구조조정과 효율화 작업을 맡기는 방안을 추진 중이다.
산은의 자산관리 자회사는 주식을 넘겨받는다는 점에서 채권을 관리하는 유암코(연합자산관리)와는 차이가 있다. 대우건설과 동부제철 등이 이 자회사에서 관리할 우선적인 기업으로 거론되고 있다.
자산관리회사가 비금융 자회사의 경영에 참여하고, 때로는 CEO 같은 역할을 할 수도 있다. 금융당국과 산은이 추진하고 있는 이 같은 계획이 성공적으로 마무리된다면 다른 비금융 자회사들까지 순차적으로 자산관리회사 아래로 옮기는 방안도 유력하다. 경영권이 없는 출자회사나 채권단이 관리하고 있는 회사 등 여러 유형의 관리기업들이 추가로 포함될 수 있는 셈이다. 자산관리회사 조직 구성은 산은의 부행장급 사장과 민간 전문가 영입을 통한 부사장이 검토되고 있다. 일단 수십 명의 규모로 조직될 자산관리회사는 업종·권역별 외부 인력도 채용해 전문가 집단으로 조직을 만든다는 계획이다.
산은은 이미 지난해 금융연구원을 통해 관련 연구용역을 마쳤고 올해 초에는 구체적인 방안을 추진하기 위해 '출자회사 관리체계 개선추진단'도 은행 내에 신설했다. 현재 조직 신설에 대한 컨설팅을 받고 있는 단계다.
또 다른 금융권 관계자는 "기업 구조조정 부문이 산은에 있으면 인사 때마다 담당자가 바뀌는 단점이 있다"며 "책임성을 가진 자회사 전문인력들이 기업 구조조정을 도맡아 하게 될 것"이
[이승윤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