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매입임대주택 마감현장을 찾아 품질점검 중인 SH공사 직원들 모습 [사진제공: SH공사] |
SH공사는 젊은 세대의 주거난 해소를 위해 청년·신혼부부들이 선호하는 강북과 강남 도심지역 및 지하철 반경 500m 이내 역세권 지역에서 청년·신혼부부용 도시형생활주택(원룸형), 주거용 오피스텔 등을 집중 매입할 계획이다.
또한 도심 및 역세권 지역에서 청년·신혼부부 주택 매입을 늘리기 위해 청년주택은 30㎡ 이상에서 14㎡ 이상, 신혼부부 주택은 44㎡ 이상에서 36㎡ 이상으로 매입대상 주택의 전용면적 기준을 각각 줄여 매입규모를 확대 조정했으며, 이를 통해 그 동안 서울의 외곽지역에 집중된 매입주택의 지역 편중성도 개선할 방침이다.
아울러 신축주택을 청년·신혼부부용 임대주택으로 매입할 경우 설계단계에서부터 '청년·신혼부부주택 맞춤형 특화설계'를 적용하고 도시미관까지 고려한 설계를 도입하기 위해 '청신호 건축가'제도를 추진할 예정이다.
청신호 건축가 제도는 종전보다 품질 및 디자인이 향상된 청신호주택을 선보이기 위해 100명 이내의 전문가들로 '청신호 풀(POOL)'을 구축, 전문 건축가에 의한
SH공사 관계자는 "매입임대주택의 하자 근절을 위해 건설 예정 주택에 대해 시공단계에서 6단계 품질점검을 실시하고 있다"면서 "올해에도 품질점검을 전담하는 부서를 별도 신설해 '하자 없는 매입임대주택'을 실현하겠다"고 말했다.
[디지털뉴스국 조성신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