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자료 제공 = 주택금융공사] |
한국주택금융공사는 노년층의 노후생활 실태 파악 등을 위해 '주택연금 수요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8일 밝혔다. 이 조사는 지난 7월 18일부터 9월 5일까지 주택을 소유한 만 55~84세의 일반노년 3000가구와 주택연금을 이용 중인 1200가구 대상으로 이뤄졌다.
주택연금은 만 60세 이상 주택 소유주가 9억원 이하 주택을 담보로 맡기고 평생 혹은 일정기간 동안 매월 연금방식으로 노후생활자금을 지급받는 국가가 보증하는 역모기지론이다.
만 60~84세 일반 노년가구의 보유자산 중 주택이 차지하는 비중은 75.1%로, 서울(85.2%)과 경기(81.6%) 거주가구의 경우 지방도시 거주가구(64.4%) 대비 주택자산 비중이 더 높았다. 또 비교적 최근 주택연금에 가입한 2년차 주택연금이용 가구의 경우 주택 자산이 보유자산의 92.1%를 차지했다.
![]() |
↑ [자료 제공 = 주택금융공사] |
고령층의 은퇴준비율은 전년보다 하락했다. 일반 노년가구 중 비은퇴 가구의 은퇴준비율은 51.3%로 전년 대비 3.1%포인트 떨어졌다. 이와 함께 일반 노년가구 중 자녀에게 경제적 도움을 받는 비율은 22.5%로 전년 대비 3.7%포인트 하락했으며, 2년차 주택연금 이용가구 중 자녀에게 경제적 도움을 받고 있는 비율은 23.8%로 전년보다 다소 줄었다.
![]() |
↑ [자료 제공 = 주택금융공사] |
또 일반 노년가구의 28.5%는 보유주택을 자녀에게 상속할 의향이 없으며 비상속의향은 2015년 이후 상승세를 보였다.
[디지털뉴스국 전종헌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