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0대 이상 고연령층에서 주가연계증권(ELS) 등 고위험의 파생결합증권 투자 가입비중이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금융감독원은 17일 'ELS 등의 개인투자자 연령대와 평균투자규모, 투자경험여부 전수조사'를 통해 이같이 밝혔다.
조사결과 올 6월 말 기준, ELS 등 파생결합증권 발행잔액은 101조원으로 이중 개인투자자 잔액은 47조2000억원으로 전체의 46.7%를 차지했다. 연령대별로 보면, 50대 이하가 30.7%(14조5000억원)로 가장 높았고, 30대 이하는 8.9%(4조2000억원)로 가장 낮은 비중을 보였다.
다만 고연령층 투자자들의 투자금액 또한 높아 투자에 주의를 요한다고 금감원은 강조했다. 실제 60대 이상의 연령층의 투자금액은 전체의 41.7%(19조7000억원)에 달했다.투자자 수에서도 60대 이상이 전체 투자자 수의 30.2% 차지했다. 50대와 40대는 각각 29.8%, 21.5%로 뒤를 이었다.
1인당 평균투자금액도 고령층에서 두드러졌다. 80대 이상이 1억7230만원으로 가장 높았고, 70대(1억230만원)와 60대(7530만원) 순으로 투자했다.
고위험상품인 ELS 등에 신규 투자하는 고령투자자 수 비중도 여타 연령대에 비해 낮지 않았다. 신규 투자자 비중은 60대가 22.0%, 70대 19.0%, 80대이상 20.0% 등으로, 높은 연령대에서도 20%이상 신규투자자가 유입되는 추세다. 판매 형태를 보면 모든 연령대에서 투자 시 대부분 은행신탁(ELT 등, 75.8%)을 이용했다.이는 은행이 접근성, 편의성 등에서 증권사보다 상대적으로 우위를 갖고 있기 때문으로 풀이된다. 은행신탁의 1인당 평균투자금액은 6400만원으로 증권사보다 1100만원 더 많은 금액이 투자됐다. 특히 70대이상 고령투자자 수는 은행신탁이 증권사보다 6배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금감원 관계자는 "손실가능성이 있는 ELS 등이 안정적으로 운용돼야 할 노후자금의 투자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며 "
금감원은 향후 70대이상 고령투자자와 투자부적격 투자자에게 적용되는 '투자자 숙려제도'가 제대로 정착될 수 있도록 개인투자자보호 노력을 지속할 예정이다.
[디지털뉴스국 김진솔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