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직속 정책기획위원회 산하 신남방정책특별위원회(신남방특위)와 금융권에서 오는 2022년까지 아세안(ASEAN) 등 신남방 지역에 진출하는 기업에 1조원 규모의 보증을 지원하는 등 금융 플랫폼을 본격 가동한다.
또 한국수출입은행에서 전대금융 4개국 12개 은행으로 확대하고, 신남방 국가 진출 허브로서 '(가칭) 한-ASEAN 금융협력센터'도 설립할 예정이다.
김현철 신남방특위 위원장은 14일 서울 롯데호텔에서 열린 금융정책기관 기관장 및 민간은행장들과의 간담회에서 "신용보증기금·기술보증기금과 협의해 2022년까지 총 1조원 규모의 해외보증을 지원할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신남방 지역에 진출한 우리 기업의 핵심 애로사항이 자금조달이라는 점을 파악하고, 이를 해결하고자 관계부처와 함께 신남방 금융지원 태스크포스를 통해 대안을 마련해 왔다"며 이같이 설명했다.
이 같은 금융지원은 신용보증기금과 기술보증기금이 해외 진출기업의 국내 모기업에 보증을 제공해 해외 현지법인에 투자금을 지원하는 방법 또는 해외 현지법인이 현지 은행에서 지금을 조달할 때 현지 은행에 보증신용장을 제공한 국내 민간은행에 보증을 제공하는 방식으로 이뤄진다.
김 위원장은 "지난주 확정한 내년도 예산에 신용보증기금 60억원, 기술보증기금 30억원 등 총 90억원이 반영돼 내년에 신남방 지역에 진출하는 중소·중견기업에 최대 1125억원을 지원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이와 별도로 한국수출입은행은 우리 기업이 해외 현지 은행에서 자금을 조달할 수 있도록 현재 4개국 8개 은행인 전대금융 기관을 2020년까지 4개국 12개 은행으로 늘린다.
전대금융은 수출입은행이 해외 현지 은행과 신용공여 한도계약을 맺고 해당 은행이 한도 내에서 국내 기업 또는 국내 기업과 거래하는 현지 기업에 필요한 자금을 대출하는 간접금융대출 방식이다.
이날 간담회에는 윤대희 신용보증기금 이사장, 정윤모 기술보증기금 이사장, 은성수 수출입은행장, 이동걸 KDB산업은행 회장, 김도진 IBK기업은행장, 강병태 무역보험공사 사장 직무대행, 허인 KB국민은행장, 위성호 신한은행장, 손태승 우리은행장, 함영주 KEB하나은행장, 이대훈 NH농협은행장, 김태영 전국은행연합회장 등이 참석했다.
<사진 2 첨부>
참석자들은 국내 금융기관의 신남방 지역 진출이 활발하게 이뤄지고 있지만 금융 인프라가 열악한 데다 당국 간 협의 채널이 부족해 어려움이 있다고 건의했다. 실제 최근 5년간(2014~2018년) 우리 금융회사의 해외진출 대부분(45개 점포 중 43개)이 신남방 국가에서 발생했다. 신남방에 진출한 금융권은 ▲국내은행 해외점포 중 당기순이익 1위를 기록한 신한베트남은행 ▲2위를 기록한 하나인도네시아은행 ▲캄보디아 저축은행 중 3위를 기록한 우리캄보디아은행 등 다수 성공사례를 창출하고 있다.
하지만 신남방 국가 진출 시 현지 당국자와의 네트워크 부족으로 인·허가 행정 및 투자 적격성 심사 지연 등 어
이에 김 위원장은 "신남방 지역에 진출한 정책금융기관 중심으로 금융지원 태스크포스를 마련해 금융 현안에 공동으로 대응해 나갈 것"이라며 "가칭 '한-아세안 금융협력 센터'를 설치해 우리 금융기관의 신남방 진출을 지원하는 안을 검토하겠다"고 강조했다.
[디지털뉴스국 류영상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