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 대덕구에 위치한 산업용 송풍기 제조회사 티앤이코리아는 2016년 특허청의 지식재산(IP) 금융지원 사업에 참여해 특허를 기반으로 9500만원에 대한 보증서를 발급받았다. 신용보증기금 보증서를 기반으로 티앤이코리아는 은행 자금을 조달받아 사업을 확장했다. 이후 회사는 지난해 27억원, 올해 50억원의 매출을 올리며 성장세를 이어가고 있다.
우수한 IP를 보유하고 있지만 부동산이나 신용도 부족으로 자금을 조달하기 어려웠던 기술 집약형 중소·벤처기업이 금융권에서 보다 쉽게 자금을 빌릴 수 있는 길이 열렸다. 우수 특허를 보유한 중소기업은 신용대출 대신 IP담보대출을 받아 이자비용을 절감할 수 있게 됐다. 특허청과 금융위원회는 11일 정부대전청사에서 이 같은 내용이 담긴 '지식재산 금융 활성화 종합대책'을 발표했다.
정부는 먼저 IP담보대출 가능 은행을 KDB산업·IBK기업·KB국민은행에서 우리·신한·KEB하나은행까지 추가하기로 했다. 또 중소기업이 대출을 받을 때 IP를 이용해 더 나은 대출 조건으로 자금을 조달할 수 있는 IP 연계 대출상품을 다양화하기로 했다. 2020년부터는 은행이 IP담보대출에 적극 나서도록 채무불이행 시 담보IP를 매입·수익화하는 회수지원 사업도 추진된다. 박원주 특허청장은 "IP담보대출이 저조했던 가장 큰 이유는 IP 매각시장이 없어 채무불이행 시 회수 가능성이 낮았기 때문"이라며 "정부와 은행이 공동으로 출연하는 회수 전문기관을 운영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민간 IP 투자를 이끄는 마중물 역할을 하도록 정책자금을 통한 IP투자펀드 조성도 강화된다. 특허청은 모태펀드 신규 출자 예산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고 회수금을 효율적으로 운용해 5년간 IP투자펀드를 1000억원 이상 조성한다는 방침이다. 또 향후 4년간 5000억원 규모 기술금융투자펀드를 공동으로 조성해 IP 투자 활성화를 추진해 나가기로 했다. 특허청은 가치평가 비용 지원을 받는 중소·벤처기업 수를 지난해 654개에서 2022년까지 3000여 개로 늘린다는 계획이다.
박 청장은 "2017년 3670억원대에 머무른 IP금융 규모를 2022년까지 2조원으
[원호섭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