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7일 김순례 국회의원실이 국민연금으로부터 받은 '국민연금 위기대응 방안에 따른 실적 요약' 자료에 따르면 국민연금은 2010년 이후 올해까지 8차례 비상대책반을 가동했다. 국민연금은 2010년부터 자체적으로 '위기인식지수'를 개발해 해당 수치가 60을 넘으면 비상대책반을 운영해왔다. 지수가 60 이상이면 '위기발단', 80 이상이면 '위기심각' 단계로 인식하는데, 해당 내용이 외부에 공개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비상대책반이 가동되면 주로 자산군별 시장 동향과 국내외 일일 금융지표를 모니터링하는 수준으로 대응이 이뤄진다. 하지만 2012년 유로존 재정위기 당시 비상대응 조직은 월간 자금운용계획상 주식 비중을 중립, 채권 비중을 확대하는 안을 제시했다.
문제는 위기 상황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겠다는 당초 국민연금 취지와는 달리 뒷북 대응이 눈에 띈다는 점이다. 가령 올해 국민연금은 3월 26일부터 8월 6일까지 위기대응 조직을 운영했는데, 올해 2월 초 미국 시장이 국채 금리 급등의 여파로 4% 폭락을 연거푸 경험하고 글로벌 시장이 요동친 지 한 달 이상 지난 뒤였다. 3월 말부터 본격화된 미·중 무역전쟁을 현안으로 보더라도 위기대응 조직 가동 시점은
국민연금 관계자는 "위기대책반을 구성하지 않은 경우에도 운용 관련 위험은 자산별로 일별 모니터링, 위험 한도 관리, 조기 경보 관리 등 차원에서 상시적으로 이뤄지고 있으며 매주 회의와 수시 점검을 수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유준호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