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7일 파주 운정의 한 아파트 단지 입주민들이 기존 관리업체를 바꾸기 위한 회의를 진행하고 있다. [사진 제공 = 전종헌 기자] |
대검찰청 자유발언대에는 아파트 관련 비리에 대한 글이 올라와 있다. 그중 하나가 신규 아파트 관리 업체에 대한 얘기다.
글쓴이의 얘기를 보면 초기 입주 아파트의 경우 구경하는 집 등 인테리어 부분을 비롯해 소소하게는 인터넷 업체나 엘리베이터 전단지 광고, 재활용, 소독, 청소 등 아파트 관련 모든 것을 임시 관리업체가 맡아 관리한다.
때문에 소독이나 청소 용역 등도 임시 관리업체와 관련이 있는 곳에 모든 일감이 몰아진다. 이권이 개입할 수 있는 곳, 즉 돈이 모이는 사업에 임시 관리업체의 손도 닿는 셈이다.
그렇다보니 특정 사업에 대해 공개입찰이 아닌 수의계약으로 이뤄지는 경우가 많다. 공개입찰을 한다 해도 사전에 해당 사업에 대한 사업비가 부풀려 진행되는 일도 있어 각종 비리가 틈타기 가장 쉬운 시기라는 게 글쓴이의 주장이다.
실제 한 아파트에서 발생한 사례는 아파트 비리가 어떻게 발생하는지 잘 보여준다. 이 아파트는 단지 내 CCTV가 부족했고 입대의에서는 CCTV를 추가로 설치할 것을 의결한다.
이에 입대의 회장은 관리소장에게 관련 입찰 공고를 띄우게 하고 참여하는 업체에게 현장 설명회를 가지라 지시한다. 총 5개 업체가 입찰에 들어와 입대의에서는 가장 저렴한 가격을 낸 A회사와 1억원에 계약을 한다.
겉으로 봐선 아무런 문제가 없어 보이지만 나중에 밝혀진 결과, CCTV 공사를 따낸 업체가 관리소장과 짜고 치는 고스톱을 준비했다.
예상견적을 사전에 짜고 부풀려 책정, 짬짜미 업체가 입찰 시 가장 낮은 금액을 써내게 해서 계약을 따낸 것이다.
결국 8000만원이면 할 수 있는 공사를 부풀려 1억원에 공사를 하게 되고 관리소장은 앉아서 2000만원을 챙겼다. 예상견적이 부풀려진 것을 모르는 입대의는 2000~3000만원 저렴하게 계약을 한 것으로 알고 있지만 사실은 아닌 것이다.
아파트 비리 사례를 대검찰청 자유발언대에 올린 글쓴이는 "아파트 입주가 시작될 때는 작게는 우유, 신문, 인터넷, 전화, 학습지 등 각종 업체들이 홍보에 열을 올린다"며 "이 모든 것은 통상 비용을 내고 영업을 하는데 이 시기(입주 초기)에는 그 어느 누구하나 관심을 두지 않는다. 그럼 이 돈들은 어디로 갔을까"라고 화두를 던진다.
앞서 올 초에는 공동주택 관리업체 7곳이 아파트 위탁관리 입찰에서 담합을 하다 적발됐다. 해당 업체들은 2011년부터 2015년 사이 서울, 경기, 충남에 있는 5개 아파트 단지 위탁관리업체 선정 과정에서 낙찰 예정자를 사전에 정하는 등 담합을 한 것으로 공정거래위원회 조사결과 드러났
이들 업체 한 관계자는 "우리만 그런(담합) 것이 아니다. 기업 치고 그렇지 않은 곳이 대한민국에 어디에 있겠냐"며 되레 담합을 합리화했다.
[디지털뉴스국 전종헌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