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일 한국감정원이 발표한 전국 주택가격 9월 3주차 조사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 매매가격 상승률은 0.26%로 전주(0.45%)보다 0.19%포인트 줄었다.
서울 아파트값은 기획재정부의 종합부동산세 인상안 발표 직후인 7월 둘째주를 기점으로 9주 연속 상승폭을 늘려왔다. 그러다가 9·13 부동산 대책 발표 직후 10주 만에 상승률이 확 꺾인 것. 투기수요를 잡기 위해 대출과 세금 등 모든 카드를 다 쓴 정부의 대책이 어느 정도 효과를 본 것이라는 해석이 나온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단기간에 많이 오른 곳의 상승폭 감소도 컸다. 9월 첫째주와 둘째주 집계에서 각각 1.04%, 0.8%의 높은 상승률을 보였던 강동구는 셋째 주가 되자 0.49%포인트 낮아진 0.31% 올라가는 데 그쳤다. 상계주공8단지 재건축 분양과 임대주택사업자 규제를 피할 수 있는 가격이라는 점이 알려져 주목받았던 노원구 하락폭이 그다음으로 컸다. 서울 25개 자치구 전역은 전주 대비 아파트 시세 상승폭이 줄어들었다.
하루이틀 사이에도 1억~2억원씩 올라가던 호가 경쟁도 잦아드는 분위기다. 매도인 우세장이었던 시장이 '지켜보자'며 관망세로 전환했기 때문이다. 강남권 아파트 일부에선 부동산 대책 발표 직후 형성된 호가 대비 가격이 낮은 매물이 소수지만 나오고 있다. 송파구 잠실주공5단지는 전용 76㎡ 호가가 19억원이 넘었지만 대책 발표 후 5000만원가량 떨어진 18억원대 매물도 나왔다. 급등세가 계속됐던 용산구 아파트 역시 마지막 실거래가 수준으로 호가가 떨어진 곳도 나왔다. 그러나 거래는 이뤄지지 못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거래량도 급격히 줄어들고 있다.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 따르면 부동산 대책 발표 직전인 9월 1~13일 서울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1160건으로 일평균 89.2건에 달했다. 하지만 발표 직후인 14~19일 서울시 내 아파트 매매 거래량은 51건으로 일평균 8.5건에 불과하다. 대책 발표 후 거래량이 10분의 1 수준으로 줄어든 셈이다. 용산구 공인중개소 관계자는 "발표 직후 매수인의 거래 문의가 뚝 끊겼다"며 "대책 발표 전 매물이 나오면 연락을 달라고 읍소하던 매수 희망자들이 매물에 대한 연락을 받고도 시큰둥하다"고 밝혔다.
그러나 아직도 서울 아파트 가격은 계속 '상승'하고 있다. 상승폭이 줄었을 뿐 계속해서 전주 대비 가격이 올라가고 있다. 그동안 서울 부동산에 대한 관심이 과열 양상으로 치달으면서 역대 최고가격에 잇따라 매매 거래가 체결됐던지라 집주인들도 호가를 쉽게 낮추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대책의 효과가 실제 거래에도 반영되려면 시간이 걸릴 것으로 내다봤다. 박합수 KB국민은행 WM스타자문단 부동산 수석전문위원은 "단기 급등에 대한 피로감과 추격매수에 대한 불안감으로 관망세가 당분간 이어질 것"이라며 "연말 금리 인상 여부가 집값 향방을 결정할 시장 변수가 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다.
서울 아파트 가격 상승폭은 줄었지만 광주와 대구 등 잘나가는 지방광역시의 아파트 가격 상승률은 되레 전주 대비 올라갔다. 노후 아파트 비율이 높은 광주와 대구는 최근 재건축과 재개발이 많이 이뤄지고 있고, 이에 따라 신규 아파트 공급도 확대되고 있어 대책이 무색할 정도로 올라가는 중이다. 특히 이 두 지역은 대구 수성구를 제외하고는 규제 무풍지대라 사람들이 더 많은 관심을 보여 '풍선효과'가 발생하는 것 아니냐는 지적도 나온다. 광주광역시 아파트 매
[박인혜 기자 / 추동훈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