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는 늦은 밤 시민의 발이 되어줄 '심야버스' 노선을 연말까지 기존 63개에서 68개로 5개 노선을 확대한다고 오늘(18일) 밝혔습니다.
심야버스는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시민 편의를 위해 출발기점 기준 오후 11시 이후에도 운행하는 버스입니다.
경기도는 2006년부터 심야버스를 운행하고 있습니다.
현재 24개 업체가 63개 노선을 운행, 15개 시·군과 서울 주요 도심을 연결합니다.
경기도는 이달 중에 시·군과 버스업체를 대상으로 수요조사를 한 뒤 막차 운송수익률과 이용객 수 등을 토대로 최종 운행노선을 확정할 방침입니다.
선정기준은 오후 11시 이후 첫차 운행 전까지 2개 시·도(시·군) 이상을 운행하는 시내버스(광역급행버스 제외), 표준운송원가 대비 막차 교통카드 수익금 비율이 30% 이상인 노선, 환승 거점 및 혼잡율 등입니다.
최종 선정된 노선은 심야 운행에 따른 운행결손금의 50%를 도비로 지원합니다.
오전 3시 이후에도 운행하는 노선은 첫차 운행 전까지 운행결손금의 80%를 지원합니다.
경기도는 5개 노선 확대로 13억원의 예산이 소요될 것으로 보고 있으며 다음 달부터 심야버스
경기도는 2022년까지 매년 5개 노선씩 심야버스를 확대할 계획입니다.
경기도 관계자는 "경기 심야버스는 수도권 생활권 확대와 생활패턴 다변화에 따라 증가하는 심야 이동 수요에 적극적으로 대응하는 교통수단"이라며 "저렴하고 안전하다는 점에서 시민에게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MBN 온라인뉴스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