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주물량 증가와 지역 경기침체 등에 따라 7월 전월세 가격이 동반 하락세인 가운데 지역·유형별로 등락의 차이는 있었으나 전월세 전환율은 전체적으로는 보합세로 나타났다.
한국감정원은 7일 신고 기준 실거래정보를 활용해 산정한 7월 전월세전환율은 전달과 동일한 수준인 6.3%이라고 밝혔다. 유형별로는 아파트 4.7%, 연립다세대주택 6.1%, 단독주택 7.8% 순으로 나타났고, 지역별로는 수도권 5.8%, 지방 7.5%로 전월에서 변동이 없었다.
전월세전환율은 전세금을 월세로 전환할 때 적용되는 비율이다. 이 비율이 높으면 전세에 비해 상대적으로 월세 부담이 높다는 의미이며 낮으면 반대다. 상승(하락 또는 보합)이 절대적인 월세부담 증가(감소 또는 보합)를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 |
↑ [자료 한국감정원] |
주택유형별로는 아파트(4.7%→4.7%), 연립다세대(6.2%→6.1%), 단독주택(7.8%→7.8%) 순으로 나타났다.
아파트 시도별로는 서울이 4.1%로 가장 낮고, 전남이 7.5%로 가장 높았다. 전북(6.0%→6.4%), 전남(7.3%→7.5%) 등은 전월 대비 올랐고, 경북(6.0%→5.8%), 충북(6.1%→6.0%) 등은 떨어졌다.
아파트 서울시 권역별로는 강북권역(4.2%→4.2%) 및 강남권역(4.0%→4.0%) 모두 전월과 동일한 전환율을 기록했다.
아파트 규모별로 소형은 5.2%, 중소형 4.4%, 중대형 4.3%로 소형의 전월세 전환율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특히 지방의 소형아파트는 6.0%로 지역·규모별 중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립다세대의 경우에는 서울이 4.8%로 가장 낮고, 세
단독주택은 제주가 6.1%로 가장 낮았고, 충북이 11.3%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디지털뉴스국 이미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