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ELS 등 파생결합증권에는 특정 주식이나 주가지수 등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ELS와 원유나 금 등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DLS, ELS와 DLS의 원금 보장형 상품인 ELB·DLB 등이 있다.
![]() |
ELS는 기초자산이 미리 정해진 범위안에 머물면 미리 제시한 수익(대개 연 4~8% 수준)을 지급한다.
예를 들어 최근 나온 상품중 유안타증권의 홈런S ELS 제4107호는 코스피200지수·홍콩항셍중국기업지수(HSCEI)·유로스탁스(EUROSTOXX)50지수를 기초자산으로 3년 만기에 6개월마다 상환기회가 있다. 이들 기초자산이 최초 기준가격(현재 지수)의 92%(6개월), 90%(12개월), 87%(18개월), 85%(24개월), 80%(30개월), 75%(36개월) 이상일 때 연 6.5% 수익률로 조기 또는 만기 상환된다. 조기상환이 되지 않더라도 투자기간 동안 어느 하나라도 최초 기준가격의 50% 미만으로 떨어지지 않으면 19.5%(연 6.5%) 수익으로 돌려 받을 수 있다.
금융연구원에 따르면 ELS는 2015년 상반기 최고치를 기록했다가 주요 기초자산인 홍콩 H지수가 하락하면서 급락, 투자자 손실이 눈덩이처럼 커지자 2016년 상반기 이후 전체적인 발행량이 급격히 줄어든 바 있다. 올 상반기 ELS 발행량은 2015년 상반기(40조 3000억원)를 넘어선 43조9000억원을 기록하며 역대 최고치에 육박하고 있다.
![]() |
하지만 ELS 상품에 불나방처럼 모여 들면서 불완전 판매에 대한 우려도 높아지고 있다는 지적이다.
재테크 전문가들은 "최근 금융사에서는 H홍콩지수 등 기초자산의 지수가 폭락하면 원금이 반토막 날 수도 있는데 이 같은 위험성에 대해 제대로 알리지 않고 판매하는 경향이 있다"면서 "특히, 보수성향의 고객이 많은 은행에서 조차 ELS 상품이 대량 팔리는 것은 많은 사람들이 위험을 간과한 채 '설마 반
이어 "ELS는 다른 금융상품에 비해 수수료가 많고, 환율 변동위험에 노출될 경우 실질수익률은 기대 만큼 높지 않을 수도 있다는 것을 사전에 알고 투자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디지털뉴스국 류영상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