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후된 청사 용지 등 1만9000㎡ 면적에 도시재생기금 등 총 2300억원을 투자한 국내 도시재생 1호 사업이다. 새 청사와 어린이회관, 행복기숙사 등 공공시설을 새로 짓고 현대건설은 주상복합아파트 450가구를 짓는다. 참석자들에 따르면 김 수석은 당초 1시간가량만 현장을 둘러보려던 계획을 바꿔 총 3시간으로 늘렸다.
김 수석은 한국토지주택공사(LH)·천안시 등 현장 관계자들에게 "도시재생은 정부 마중물이 민간과 힘을 합쳐야 시너지 효과가 극대화된다"며 "일자리 창출 효과와 지역 상권 재생, 주거환경이 어우러지는 경제기반형 복합개발이야말로 도시재생 뉴딜이 지향해야 할 대표 사례"라고 극찬했다.
올해 선정된 도시재생 뉴딜 사업 후보지엔 정부의 '도시재생'에 대한 사고 전환이 오롯이 담겼다. 침체된 지역경기를 살리고 쇠퇴한 구도심에 활기를 불어넣기 위한 프로젝트가 대거 선정됐다.
작년에 선정된 68곳 중에서 사업비가 가장 많이 책정된 곳은 경남 통영, 전북 군산, 전남 순천 등 비도시권이었다. 하지만 올해엔 대구·광주 등 대도시권도 상당수 포함됐다. 구도심 쇠퇴와 일자리 축소 등으로 대표되는 지방 도시 문제의 '해결사'로 떠오른 셈이다.
99곳 사업 중에서 20곳은 '중심시가지형'과 '경제기반형'으로 진행된다. 마을 위주 재생인 '우리동네살리기'나 '주거지지원형'과 달리 이들은 쇠퇴한 산업 기능을 회복하고 일자리를 창출해 도시 경쟁력을 회복하는 데 방점을 찍고 있다. 작년 한 곳에 불과했던 사업비가 1조원 이상인 후보지도 두 곳으로 늘어났다. KTX 진입 중단과 공공기관 이전으로 쇠퇴한 광주역 주변을 복합개발해 문화 스타트업 밸리로 조성하는 '광주 역전 도시재생 사업'과 포항 남구 송도동 일원을 해양 레포츠와 해양 마이스(MICE) 산업 중심단지로 만드는 '포항 정보통신기술(ICT) 기반 해양산업 플랫폼 사업'이다.
도심 지역의 대학·상권을 포함한 '캠퍼스타운 조성', 공기업이 직접 개발에 뛰어드는 형태 등 유형도 다양해졌다. 지방 도시 구도심에 새로운 산업을 육성해 일자리 창출 효과를 노리겠다는 것이다.
캠퍼스타운형 도시재생은 미국 펜실베이니아대가 필라델피아에서 진행했던 UCD(University City District) 계획을 참고했다. 우리나라도 이를 본떠 지역 내 대학과 지방자치단체가 지역 청년의 창업을 지원하고 주변 환경을 개선하겠다는 것이다. 대구 경북대, 광주 전남대 등 4곳이 선정됐다.
공공기관 등이 참여하는 사업 중에선 강원 태백과 삼척 등에서 진행되는 프로젝트가 눈에 띈다. 태백에선 한국광해관리공단이 독일 촐베라인 탄광 재생을 모델로 삼아 폐광시설을 광산테마파크와 스마트팜으로 조성한다. 또 강원 삼척시는 폐산업시설을 리모델링을 통해 창업연구실, 셰어하우스, 문화예술공간 등으로 탈바꿈시키는 계획을 갖고 있다.
김이탁 국토교통부 도시재생사업기획단장은 "미국 러스트벨트(미국 북동부의 쇠락한 공업지대)도 도시재생을 통해 쇠퇴한 도시 분위기를 바꾸는 데 성공했다"며 "우리나라도 강원도 폐탄광 지역 등 손볼 수 있는 곳이 많다"고 설명했다.
일부 도시재생 사업에는 공공임대주택 조성도 포함된다. 대구 북구에서 6·25전쟁 당시 피란민이 살던 무허가 건축물을 재정비해 공공임대주택 292가구를 만드는 등 전국 64곳에서 공공임대주택 6265가구가 마련된다.
현재 사업지 99곳에서 제시한 사업비는 7조9111억원 규모다. 이 중 국비 9738억원이 투입되고 나머지는 지방비, 공기업, 민간 투자로 충당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