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닥 상장사인 하나마이크론이 기계연구원과 함께 세계 최초로 '3차원 플렉서블 반도체 패키징' 상용화 기술을 확보하는 데 성공했다.
28일 하나마이크론의 김동현 연구소장팀은 한국기계연구원의 송준엽 본부장팀과 공동으로 자유롭게 구부리거나 휠 수 있고 패키지 사이즈를 획기적으로 줄일 수 있는 3차원 플렉서블 반도체 패키징 기술을 개발했다고 밝혔다. 이번 공동개발은 산업통상자원부 산업핵심기술개발사업의 일환으로 일궈낸 결실인 것으로 알려졌다.
하나마이크론 측은 "최근 웨어러블기기들을 보면 편안한 착용감과 아름다운 곡면 형상, 저전력 및 높은 성능 등이 요구되고 있다"며 "이를 구현하기 위해선 반도체 패키지도 자유로운 구부림, 박막, 고집적화가 가능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기존 패키징 기술은 단단한 솔더범프를 사용해 플렉서블 패키지에 적용하기 어려웠다"며 "뿐만 아니라 반도체 소자를 유연하게 만들기 위해 두껍고 딱딱한 반도체 웨이퍼를 20~30마이크로미터 두께로 매우 얇게 가공한 후 플렉서블 연성기판에 순차적으로 적층해야 하므로 파손되기 쉬웠다"고 덧붙였다.
그러나 이번 공동 연구팀이 개발한 3차원 플렉서블 반도체 패키징 기술은 이러한 문제점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차세대 기술이다. 반도체 소자를 여러 층으로 적층해도 구부림 등에서 접촉을 유지할 수 있으며, 유연한 기계적 특성을 갖는다. 2층으로 적층된 3차원 플렉서블 반도체 패키지는 굽힘 반경 10mm로 굽혔다 폈다를 1만번 반복해도 전기적 특성 변화 없이 성능을 유지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하나마이크론 관계자는 "이번에 세계 최초로 개발한 3차원
[고민서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