남북 화해 분위기가 무르익으면서 한반도 부동산에 대한 전망은 장밋빛이다. 하지만 위험요인도 만만치 않게 도사리고 있다.
고종완 한국자산관리연구원장은 "지정학적 리스크를 감소시켜 투자심리를 긍정적으로 전환시키고, 외국인 투자자들의 한국 투자 모멘텀을 만든다는 점은 플러스 요인이지만, 당장 경기 북부나 서해안 등에 투자한다고 바로 수익을 낼 것이라는 주장은 난센스"라고 말했다.
그는 "단기 시세차익을 노린다는 생각은 버려야 한다. 군사외교 상황은 언제든 돌변할 수 있고, 외교 리스크는 일반인들의 예측 범위를 벗어난다"고 경고했다.
안명숙 우리은행 부동산투자지원센터 부장도 "종전선언 이후 부동산 시장에 대한 기대감이 높아지면 일시적으로 가격이 상승하겠지만, 실제 성과 가시화까지는 적지 않은 시간이 걸린다"면서 "대출 등을 통한 무리한 투자는 금물이다. 독일 사례처럼 공급과잉에 따른 하락이 없으라는 법이 없다"고 조언했다.
양지영 양지영R&C연구소장은 "사실 그동안 몇 달에 걸쳐 남북 관계가 개선되면서 경기 북부, 접경지역에 대한 토지 투자 열풍이 불어닥친 바 있고, 이것이 가격에도 이미 반영돼 있다"고 지적했다.
접경지 투자에 걸려 있는 각종 규제와 장애물에 대한 충분한 이해가 있어야 한다는 의견도 있었다.
고준석 신한은행 부동산투자자문센터장은 "내국인 투자가 접경지로 몰릴 것 같은데 자연, 군사, 문화생태적 차원의 규제와 제한이 생각보다 훨씬 많은 것이 현실"이라면서 "기획부동산 말을 듣고 솔깃해 쪼개 파는 땅을 사는 것은 절대 하지 말아야 할 일이다. 개발이 안되는 땅을 규제를 풀 수 없는 상황에서 비싸게 주고 사 어려움을 겪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현재 행정수도인 세종시와 북한과 거리가 상대적으로 멀면서, 접근성도 나쁜 남쪽 지역은 이번 종전선언에 따른 부동산 가치 상승 효과를 누리기 어려울 것이라는 관측도 나왔다.
안 부장은 "정부의 정치적 결정이나 정책 변화로 수도 및 행정 기능을 담당하는 도시가 바뀔 수 있는데, 이때 가장 타격을 받는 곳이 세종시일 것"이라고 말했다. 고 원장은 "세종시 같은 행정분산형 신도시는 리스크가 크다"고 전망했고,
[추동훈 기자 / 김강래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