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는 기업 실적 호조에도 기준금리 인상에 대한 경계감이 계속되면서 혼조세를 보였다.
25일(현지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59.70포인트(0.25%) 상승한 24083.83에 마감했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4.84포인트(0.18%) 오른 2639.40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3.61포인트(0.05%) 내린 7003.74에 거래를 마쳤다.
다우지수는 이날 반등에 성공하며 5거래일 연속 내림세에서 벗어났다.
시장 참가자들은 미국 국채금리 상승세, 기업 실적, 유가 동향 등을 주목했다. 미 국채 10년물 금리는 이날 3.02%대에서 마쳐 3%대에 안착하는 흐름을 보였다. 전일 증시에서 미 국채금리가 3%를 일시적으로 넘어선 데 따른 불안감으로 투매 현상이 발생했지만 이날 시장은 차분한 반응을 보였다.
장 초반 주요 지수가 금리 상승에 민감하게 반응하며 하락세를 나타냈다. 하지만 이후 차츰 낙폭을 줄이며 보합권으로 반등했다. 시장에서는 금리 상승이 차입비용 증가 등으로 기업의 실적에 부정적으로 작용하는 것은 물론 증시 자금이 채권시장으로 빠져나갈 수 있다는 우려가 높았다. 반면 가파른 상승만 없다면 현 수준의 금리 오름세는 경제 성장을 고려할 때 자연스럽다는 의견도 있다. 또 경기와 증시에 부정적으로 작용하지 않을 것이란 진단도 나왔다.
항공기 생산업체 보잉이 시장의 예상치를 넘어서는 실적을 발표한 것은 물론 실적 전망치 상향 조정, 자사주 매입 규모 확대 등 종합 선물 세트를 내놓은 점은 시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줬다. 보잉은 올해 조정 주당순이익(EPS) 전망치를 기존 13.80~14달러에서 14.30~14.50달러로 올렸다. 보잉 주가는 이날 4% 이상 오르며 주요 지수의 상승을 견인했다.
트위터 주가는 예상치를 웃도는 실적 발표 직후 큰 폭 올랐지만, 이후 가파르게 반락해 2.4%가량 떨어졌다. 트위터가 올해 남은 기간 매출 증가 속도가 둔화해 지난 2016년과 유사할 것이란 평가를 한 점이 주가의 하락 반전을 촉발한 것으로 풀이된다.
전일 캐터필러나 3M 등이 호실적에도 향후 실적 예상치를 낮추거나 부정적인 평가를 내놔 주가가 급락했던 것처럼 전망에 주목하는 현상은 이날도 이어졌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세제 개편 효과 등으로 1분기 실적은 좋다는 점이 충분히 반영된 만큼 투자자들이 전망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다고 평가했다.
이날 업종별로는 페이스북 등 핵심 기업의 실적 발표를 앞뒀던 기술주가 0.12% 하락했다. 부동산 업종도 0.34% 내렸다. 반면 에너지주는 0.81% 올랐고, 통신주도 0.81% 상승했다.
이날 에너지정보청(EIA)은 지난주 미국 원유재고가 217만 배럴 증가한 것으로 발표했다. 이는 시장 전망치 170만 배럴 감소를 크게 웃돈 수준이다. 국제유가는 하지만 소폭 올라 마감했다.
뉴욕증시 전문가들은 금리 상승이 불러올 시장의 변화에 촉각을 곤두세우는 장세가 당분간 유지될 수 있다고 봤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선물 시장은 올해 6월 25bp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93.3% 반영했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에서 변동성지수(VIX)는 전 거래일보다 2.22% 상승해 18.42를 기록했다.
[[디지털뉴스국][ⓒ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