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9일 야당이 김기식 원장에 대한 공격을 퍼부으면서 금감원에 긴장감이 감돌았다. [이승환 기자] |
김성태 한국당 원내대표는 9일 원내대책회의에서 김 원장이 2015년 대외경제정책연구원(KIEP) 예산으로 떠난 미국·유럽 출장을 언급하며 "(김 원장 측은) '당시 함께 간 여비서가 담당 업무를 하는 정책비서'라고 전날 해명했지만 9급 정책비서가 아니라 인턴 신분임이 드러났다"며 "정책 보좌로 인턴을 데리고 간 것은 앞뒤가 맞지 않는다"고 주장했다. 김 원내대표는 "여비서는 해외출장 수행 이후 9급 비서로 국회 사무처에 등록했고 6개월여 만에 7급으로 승진했다"며 "문재인 대통령은 금감원장 임명을 철회하고 김 원장이 검찰 수사를 받도록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에 대해 김 원장은 "당시 금융위원회 공정위원회 등 경제부처 산하기관은 보좌관과 비서관이, 기타 비경제 소관부처는 6급 비서와 인턴 2명이 각각 나누어 담당했다"고 해명했다. 의혹이 제기된 비서에 대해서는 "해당 비서뿐 아니라 다른 인턴도 정식 비서로 승진시켰으며 기존 비서 결원이 생길 때마다 급수를 올려줬다"고 덧붙였다.
김 원장은 정무위원회 소속 국회의원으로 활동한 2015~2016년 KIEP와 우리은행, 한국거래소(KRX) 등 피감기관 예산으로 수차례 해외 출장을 다녀왔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이와 관련해 김 원장은 지난 8일 "로비 성격의 출장이 아니었으며 해당 기관에 어떤 혜택도 주지 않았다"고 해명한 바 있다.
김 원장의 해명에도 야당의 공세는 더욱 거세지고 있다. 유승민 바른미래당 공동대표도 이날 삼성증권의 배당 착오로 발생한 '유령주식' 거래 사태를 비판하며 "김 원장을 수장으로 둔 금감원이 과연 삼성증권 사건을 엄정히 조사할 수 있을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권은희 바른미래당 의원은 이날 이른바 '김기식 방지법'으로 명명한 부정청탁금지법 개정안을 발표했다. 개정안은 사적 이해관계자가 직무에 관련돼 있을 때 소속 기관장에게 신고하거나 고위 공직자 임용·취임 전 3년 내 민간부문 업무 활동 명세서를 공개하도록 했다.
한편 청와대 관계자는 "민정수
[김동은 기자 / 이윤식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