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세권 아파트에 살려면 비(非)역세권 아파트보다 평균 5800만원을 더 지불해야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하철 접근성은 아파트 매입 결정시 중요한 판단 요소 중 하나다. 정체가 거의 없고 배차 시간도 일정한 지하철은 버스보다 집값 영향력이 크다. 특히 지하철 주변으로 백화점, 학원 등 선호시설이 들어서는 것도 집값 상승에 한 몫한다.
부동산114가 8일 수도권 21개 지하철 노선별로 역세권 아파트값을 분석한 결과에 따르면 수도권 역세권 아파트(도보 10분 이내)의 세대당 평균 매매가격은 6억7358만원인데 비해 비역세권 아파트(도보 11~20분 이내)는 6억1517만원으로 조사됐다. 특히 경강선(판교~여주)이 역세권과 비역세권 간 가격 격차(이하 세대당)가 가장 컸다. 경강선 역세권 아파트의 평균 매매가격은 10억170만원으로 비역세권 아파트보다 3억4456만원 비쌌다. 이어 서울 용산과 경기도 구리·남양주를 연결하는 경의중앙선 역세권 아파트(5억6149만원)도 비역세권 아파트보다 1억1080만원의 웃돈이 붙은 것으로 조사됐다.
![]() |
↑ 역세권 여부에 따른 가격 격차 1억 이상 나는 지하철 노선 [자료제공: 부동산114] |
반면 매매가격이 가장 낮은 노선은 의정부경전철인 것으로 조사됐다. 의정부경전철 역세권 아파트 가격은 되레 비역세권보다 1451만원 더 싼 2억3508만원으로 나타났다. 운영 적자로 대체사업자를 모집 중인 현 상황이 아파트가격에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이미윤 부동산114 연구원은 "강남권 역세권 아파트는
[디지털뉴스국 조성신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