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전진단 강화로 명암 엇갈리는 시장 분위기
↑ 안전진단 기준 강화 조치로 재건축에 차질이 불가피해진 목동 신시가지 일대. [한주형 기자] |
불과 며칠 전까지 강남 4구 뒤를 잇는 재건축 투자처로 각광받으면서 지방 투자자들까지 올라와 기웃거리던 모습은 온데간데없이 사라졌다. 목동 신시가지 A공인 관계자는 "재건축 연한을 늘린다는 식의 구두 개입이 나오면서 다소 긴장하는 분위기는 월초부터 있었지만 너무 강력한 정책이 예고 없이 터졌다"며 "매수 문의는 뚝 끊겼고 집주인들도 충격에 빠져 매물이 '쏙' 들어간 상황"이라고 말했다.
목동 신시가지는 1980년대 후반 입주가 몰린 탓에 주요 단지들은 재건축 연한인 30년 조건을 최근 충족했다. 재건축 방식에 대한 주민 간 이견도 있었지만 아직 급하지 않다고 판단했기 때문에 안전진단을 서두르지 않았다. 이런 와중에 당장 한두 달 내에 안전진단 의뢰를 마무리하지 않으면 재건축이 기약 없이 늘어지게 된 셈이다.
B공인 관계자는 "아직 정부 발표를 모르는 사람도 많거니와 충격이 가시지 않은 탓인지 정중동 분위기"라고 말했다.
그러나 소형평형이 많아 갭투자가 집중됐던 목동 신시가지 11·12단지의 분위기는 사뭇 다르다. 이 단지는 올해 10월이 돼야 입주 30년을 채워 재건축 대상이 된다. 정부의 안전진단 기준 강화를 피하려면 개정안이 발효되기 전에 안전진단 의뢰를 마쳐야 하는데 정부는 대략 한두 달 걸릴 것으로 예상한다. 사실상 강화되는 규제를 피하기 어려운 셈이다.
재건축 아파트 투자자는 재건축 완료 후 새 아파트에 입주하거나 중도에 매각해 차익을 노리는 것이 목적이다. 정부 규제 강화로 두 가지 모두 어려워진다. 그나마 자본이 넉넉하면 버티지만 전세에 빚까지 끼고 투자한 사람이라면 오래 버티기 힘들다.
이런 이유가 복합적으로 작용하며 7억원대 중반까지 치솟았던 11단지 전용 51㎡ 호가는 이날 6억원대로 내려갔다. 앞으로 추가 하락 가능성도 크다고 주민들과 인근 공인중개사무소 관계자들은 전망한다. A공인 관계자는 "항상 급락기에 가장 많이 빠진 곳이 11·12단지였는데 이번에도 비슷하지 않을까 싶다"고 전했다. 송파구에서 아직 안전진단에 착수하지 못한 문정동 올림픽훼밀리아파트와 방이동 올림픽선수기자촌아파트도 기준 강화 발표 이후 매수 문의가 뚝 끊겼다. 1년 전 9억원이던 올림픽훼밀리 전용 84㎡ 시세는 최근 11억~12억원까지 치솟았다. 곧 입주 30년을 채우고 재건축이 가능해진다는 기대감이 원동력이었다. 하지만 규제 강화로 재건축이 지지부진해질 조짐을 보이자 이 단지에 관심을 갖던 사람들이 가락동 '헬리오시티'(가락시영 재건축) 등 리스크가 없는 타 단지로 눈길을 돌리고 있다고 인근 공인중개사무소 관계자가 전했다.
C공인 관계자는 "재건축 자체에 초과이익환수제 같은 리스크가 있지만 올림픽훼밀리는 워낙 대단지인 데다 아직 갈 길이 멀고 실거주하기에도 좋은 중대형이라 인기가 있었는데 안전진단 통과 자체가 어려워지면서 올해 말 입주 예정인 신축 헬리오시티 쪽으로 많이 옮겨가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재건축 초기 단계인 아파트들에 대한 매력이 떨어지면서 기존 아파트 입주민 사이에선 반사이익을 기대하는 분위기도 감지되고 있다. 서초구 D공인 관계자는
[박인혜 기자 / 정순우 기자 / 추동훈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