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20년 소위 '공원일몰제' 시행을 앞두고 도시공원 내 아파트 개발사업이 빠르게 진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업계에서는 청주, 원주, 수원, 대전 등에서 6개 단지, 7000여 가구가 연내 분양에 나설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민간기업이 도심 속 공원에 아파트를 공급할 수 있게 된 것은 2011년 이후부터다. 도시공원 특례사업이 가능해졌기 때문이다. 도심 속 공원을 개발하는 것은 원래 지방자치단체 역할이지만 토지 보상비용 마련 등 공원 개발을 위한 재원 마련이 쉽지 않다. 그래서 정부가 민간기업 자본을 활용해 공원 개발을 추진할 수 있도록 한 것이 도시공원 특례사업이다. 민간기업이 도시공원의 70% 이상을 공원으로 조성해 지자체에 기부하면 나머지 30%에 대해서는 비공원 시설(주거나 상업 등)을 지을 수 있게 했다.
그러나 정부가 도시공원 특례사업 유예기간을 2020년 7월까지로 두면서 이 기간 이후에는 공원 개발에 뜻이 없는 것으로 판단해 도심공원 내 용지를 원 소유주에게 돌려주기로 했다. 이것을 업계에서는 공원일몰제로 부른다.
도시공원 특례사업으로 도심공원에 비공원 시설이 공급된 것은 현재까지 딱 두 곳뿐이다. 2016년 의정부 직동공원과 추동공원 개발이다. 이곳에는 아파트가 들어섰다. 전국 최초의 도시공원 특례사업이라는 상징성과 도심 내 숲속 아파트로 마케팅되면서 인기가 높았다. 당시 분양된 아파트는 '의정부 롯데캐슬 골드파크'(2016년 3월 분양, 일반분양 1681가구)와 'e편한세상 추동공원'(2016년 10월 분양, 일반분양 1461가구)이다. 각각 8536명과 3396명이 청약해 평균 5.1대1과 2.3대1의 경쟁률을 기록했다. 2016년 한 해 의정부 아파트 청약경쟁률이 평균 2.9대1인 것을 감안하면 공원 속 아파트 인기가 높았음을 알 수 있다.
![]() |
강원도 원주시도 빠르게 사업이 진행되고 있는 지역 중 한 곳이다. 현재 중앙공원, 단구공원 등 4개 도시공원에서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포스코건설이 원주 중앙공원 내 짓는 더샵은 1777가구 규모로 공원 속 아파트 메리트에 더해 대단지 브랜드 아파트라는 점과 인근에 원주시청, 춘천지방검찰청, 법원 등이 있다는 점에서 관심을 받고 있다. 이 밖에도 올해 안으로 수원, 대전 등 전국 각지에서 도시공원 개발사업 추진에 나설 계획이다.
권일 부동산인포 리서치팀장은 "전국적으로 도시공원 특례사업 용지가 여의도의 약 64배 규모로 있지만,
[박인혜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