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설 이후 재테크 전략 ◆
![]() |
외화예금 상품은 5대 은행인 KB국민은행 신한은행 KEB하나은행 우리은행 NH농협은행을 비롯한 시중은행에서 가입할 수 있다. 외화예금 역시 일반 정기예금과 정기적금처럼 최대 5000만원까지 원리금을 보장받을 수 있다. 환차익에 세금이 붙지 않는다는 장점도 있다.
주식처럼 사고팔 수 있는 '달러 상장지수펀드(ETF)'도 고려해볼 수 있다. 레버리지 ETF는 달러가 강세일 때 수익을 얻을 수 있고, 달러가 약세일 때에는 지수와 반대로 움직이는 인버스 ETF 상품에서 수익을 얻을 수 있다. 달러 약세가 진행된 최근 3개월 동안 인버스 상품은 수익을 낸 반면 레버리지 상품 수익률은 마이너스였다. 역외펀드는 다시 투자자산 종류에 따라 주식형·채권형으로 나뉘며 선택할 수 있는 국가 역시 다양하다.
외화예금보다 이율은 높으면서 똑같이 원금을 보장받을 수 있는 달러보험도 있다. 달러보험은 외화로 보험료를 내고 보험금도 외화로 받는 상품이다. 은행의 예·적금 같은 금리 연동형 보험상품은 공시이율이 최소 2% 후반대라 외화예금 금리 1%대보다 높다. 현재 생명보험업계에서 주로 취급하고 있다. 메트라이프의 '무배당 유니버설 달러 종신보험', 푸르덴셜생명의 '무배당 달러평생소득 변액연금보험', ING생명의 '무배당 I
[김종훈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