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LH는 올해 '주거복지로드맵' 등 정부 정책 이행을 위해 택지공급을 위한 토지사업에 2조 9000억원(17㎢), 공공주택 공급확대를 위한 건설사업에 6조 3000억원(5만 6000가구) 규모 사업을 발주할 계획이다. 지역별로 보면 서울 등 수도권이 5조원, 지방권이 4조 2000억원이다.
하지만 올해 발주 물량은 지난해 LH 공사·용역 규모인 11조 9000억원보다 23% 줄어든 수치다. LH의 공사·용역 발주 계획이 10조원 밑으로 떨어진 것도 지난 2014년 이후 처음이다.
건축공사의 경우 지난해 7조 2000억원에서 4조 8000억원으로 대폭 축소됐다. 경제적 파급효과가 가장 큰 건축공사가 2조 4000억원 가까이 깎인 것이다. 토목공사는 지난해 2조에서 1조 8000억원으로 소폭 줄었다. 올해 LH는 전기·통신공사로 1조 4000억원, 조경공사로 5000억원 규모를 발주한다.
앞서 정부와 국회는 2018년도 SOC 예산안을 지난해보다 14.0% 감소한 19조원으로 확정한 바 있다. 여기에 공공부문 발주 물량 축소까지 겹쳐 건설업계는 적지 않은 타격을 입을 것으로 보인다.
건설업계는 이미 지난해 하반기부터 건설 수주 감소세에 시달리고 있다. 통계청의 산업활동동향을 보면 지난 2014년과 2015년에 각각 16.3%와 48.4% 늘었던 건설 수주는 지난해 하반기부터는 급격한 감소세를 기록했다. 지난해 7월 전년 동월 대비 29.5% 감소한 건설수주는 10월에는 44.3%까지 줄었다.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은 '2018년 건설경기 전망' 자료에서 이같은 수주 하락세가 이어지면 올해 국내 건설 수주는 지난해 대비 15% 감소할 것으로 내다봤다. 주택 시장 악화로 민간 재건축·재개발 수주 실적이 줄어들 수밖에 없는 상황에서 공공 수주가 완충 역할을 못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토목분야 투자의 경우 지난 2009년 이후 2016년까지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어 문제가 심각하다고 평가다. 올해
한편 LH의 건별 세부 발주계획은 LH 홈페이지 전자조달시스템에서 확인 할 수 있다.
[김강래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