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증시에서 주요 지수는 미국의 국채 금리가 상승세를 보여 약세를 나타냈다.
7일(미국시간)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전장보다 19.42포인트(0.08%) 하락한 2만4893.35에 거래를 마쳤다.
스탠더드앤드푸어스(S&P) 500 지수는 전장보다 13.48포인트(0.5%) 내린 2681.66에,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 지수는 63.9포인트(0.9%) 낮은 7051.98에 장을 마감했다.
이날 지수는 혼조세로 출발해 일제히 내림세로 마감했다.
10년물 국채 금리가 상승세를 보여 최근 불거진 금리 인상에 대한 불안이 지속했다.
물가 상승에 따른 금리 상승 전망은 최근 증시 조정 배경이 됐다.
미국의 10년물 국채 금리는 이날 증시 장 마감무렵 2.845%에서 움직였다. 이는 전일 2.766% 대비 높아진 것이다.
이날 연설에 나선 연방준비제도(연준·Fed) 위원은 주가 하락에 대한 일부 우려를 잠재우려고 노력했지만, 영향은 크지 않았다.
댈러스 연방준비은행의 로버트 카플란 총재는 일부 시장 조정은 좋은 일이고, 금융 여건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진단했다.
윌리엄 더들리 뉴욕 연은 총재도 이날 연설에서 주가 하락이 경제나 통화정책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평가했다.
그는 현재 시장 기능이 매우 원활하고 유동성도 충분하다고 설명했다.
찰스 에번스 시카고 연은 총재는 미국 내 물가 상승 신호가 더 나올 때까지 연준이 금리를 올리지 말아야 한다고 진단했다.
미국의 고급 패션 브랜드인 마이클 코어스의 주가는 분기 실적 호조에 1.0% 상승했다.
마이클 코어스는 회계연도 3분기 순이익이 2억1940만 달러(주당 1.42달러)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 회사 주가는 지난 1년 동안 78%가량 상승했다.
완구업체인 해즈브로의 주가는 지난해 4분기 매출이 시장 예상에 미치지 못했음에도 조정 EPS가 전문가 전망치를 웃돌아 8.8% 올랐다. 이 회사 주가는 지난 3개월 동안 4.5% 상승했다.
이날 미국 의회는 앞으로 2년간 집행할 예산 규모에 합의했다. 합의된 예산안은 앞으로 2년간 800억 달러의 국방비를 포함해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방기금(FF) 금리선물 시장은 올해 3월 0.25%포인트 기준금리 인상 가능성을 71.9% 반영했다.
시카고옵션거래소(CBOE)에서 변동성지수(VIX)는 전 거래일보다 11.11% 오른 26.65를 기록했다.
[디지털뉴스국][ⓒ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