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국내 보험사의 경영실적이 금리인상과 주식시장 호조에 따른 투자수익 증가와 자동차보험 손해율 하락으로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8일 금융감독원에 따르면 지난해 손해보험사의 당기순이익은 3조878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1.8%(4088억원) 증가했다. 생명보험사의 당기순이익도 63.4%(1조5336억원) 증가한 3조9543억원으로 집계됐다.
업권별로 보면 손보사의 경우 자동차보험 손해율 개선(83.0%→80.9%) 등으로 보험영업 손실이 축소됐다. 반면 금리상승 등에 따라 투자수익이 크게 증가한 결과로 금감원은 분석했다. 손해율은 보험사가 고객에게 받은 보험료 대비 고객에게 지급한 보험금 비율이다.
생보사의 경우 금리 상승 등에 따라 준비금 적립부담이 감소돼 보험영업 손실(22조3886억원→21조4392억원)이 축소됐다. 또 주식시장 호조로 배당수익이 증가한 영향으로 투자영업이익 부문에서 21조9937억원의 비교적 높은 수익을 거뒀다.
보험사 매출에 해당하는 수입보험료는 손보사가 성장했으나 생보사는 역성장한 영향으로 전년 대비 2.1% 감소한 191조2474억원을 시현했다.
업권별로 보면 생보사는 4.9%감소한 반면 손보사는 2.4%늘었다. 생보사의 경우 보장성보험의 성장세가 둔화(7.1%→3.1%)됐고 저축성보험과 퇴직연금 역시 각각 12.3%, 4.5% 감소했다. 반면 손보사는 일반보험의 수입보험료 증가율이 4.8%로 가장 높으며 자동차보험과 장기보험도 각각 2.8%, 1.9% 증가하는 등 성장을 견인하고 있다
같은 기간 보험사 총자산은 1109조9602억원으로 7.3% 늘었다.
금감원 관계자는 "보험회사 당기순이익은 전년 대비 크게 증가했으나, 주로 준비금 적립부담 완화, 자동차보험 제도개선 등 외부요인에 기인한다"며 "다만 IFRS17 등 자본규제가 강화되고 있어 내부유보 확대, 장기 수익성 제고 등과 같은 재무건전성 확보 노력이 필요하다"고 진단했다.
이어 "시장포화로
[디지털뉴스국 김진솔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