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년 하반기부터 이어져 온 수도권과 지방의 집값 양극화가 올해 더욱 심화될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한국감정원은 19일 오후 서울 역삼동 한국감정원 서울지사에서 간담회를 열고 '2017년 부동산시장 동향 및 2018년 전망'을 발표했다.
감정원이 전망한 올해 전국 집값 흐름은 0.3% 상승이다. 2015년 3.5%, 2016년 0.7%, 지난해 1.5%에 비하면 확연히 줄어든 상승폭이다. 채미옥 한국감정원 KAB부동산연구원장은 "기준금리 추가 인상 가능성과 가계부채 건전성 강화에 따라 매수심리가 위축되고 입주물량 증가가 주택시장 전반에 걸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수도권은 0.8% 상승, 지방은 0.7% 하락을 전망했다. 감정원이 연간 전망을 발표하기 시작한 2015년 이후 지방 집값 하락을 전망한 것은 올해가 처음이다. 새해 들어 서울 집값 상승률이 매주 0.3% 이상씩 상승하고 있다는 점을 감안할 때 수도권 전망치인 0.8% 상승 역시 서울을 제외한 경기·인천 지역은 대체로 하락할 것이라는 전망으로 해석된다. 채 원장은 "재건축 사업 및 개발호재에 따라 서울은 매매가격 상승 가능성이 존재하지만 경기 지역의 입주물량 및 전세물량 즈가는 서울 지역의 매매가격 상승을 뒷받침 할 여력을 감소시킬 것"이라고 내다봤다.
매매시장 위축으로 전세시세도 하락할 것으로 전망됐다. 감정원은 올해 연간 주택 전세가격이 0.1% 하락하는 가운데 수도권은 보합, 지방은 0.7% 하락을 전망했다. 채 원장은 "매매시장 위축으로 실수요가 많은 지역에서는 전세수요가 증가하지만 경기와 인천 및 지방의 입주물량 증가로 전세 공급이 늘면서 전국적으로 소폭의 하락세가 예상된다"고 말했다.
주택 거래량은 82만건으로 전년 대비 13.4% 줄어들 것으로 전망됐다. 정부의 대출규
[정순우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