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전자가 현지시간 9일부터 12일까지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세계 최대 IT·가전 전시회 'CES 2018'에서 인공지능을 탑재한 제품과 서비스를 대거 선보이며 글로벌 선도기업 이미지를 굳힌다.
CES는 3900여 기업이 참여하고 150여 국가에서 약 19만 명의 관람객이 찾는 세계 최대 규모의 IT·가전 전시회다.
LG전자는 이번 전시회에서 2044㎡ 규모의 부스를 마련, '더 나은 삶을 위한 혁신(Innovation for a Better Life)'을 슬로건으로 내걸고 ▲차별화된 인공지능 가전 ▲차원이 다른 올레드 TV ▲초(超)프리미엄 가전 'LG 시그니처(LG SIGNATURE)' 등을 소개한다.
LG전자는 전시관 입구에 '올레드 플렉서블 사이니지' 246대를 이용해 초대형 올레드 조형물을 구성했다. 길이 16m, 너비 16m, 높이 6m 규모의 올레드 협곡은 자연의 경이로움을 표현했다.
LG전자는 올레드만이 가능한 완벽한 블랙 표현과 곡면 디자인으로 빙하, 폭포, 협곡 등 대자연의 모습을 선보여, 관람객들이 압도적인 화질과 감동을 느낄 수 있도록 했다. 또 올레드 협곡에 돌비사의 첨단 입체음향 기술인 '돌비 애트모스(Dolby ATMOS)'를 적용해, 공간을 가득 채우는 입체적인 사운드로 대자연 속에 있는 듯한 현장감을 높였다.
![]() |
↑ LG전자 모델들이 LG 씽큐 존에서 인공지능 가전들을 소개하고 있다. [사진제공 : LG전자] |
인공지능 전시존 'LG 씽큐(ThinQ) 존'은 LG전자 전체 부스 면적의 1/3을 차지하며, 여러 전시 존 가운데 가장 넓다. LG전자는 이번 CES를 통해 인공지능 선도기업 이미지를 굳힌다는 계획이다. 'LG 씽큐'는 LG전자의 인공지능 제품·서비스를 아우르는 브랜드다.
LG전자는 'LG 씽큐 존'에 거실, 주방, 세탁실 등 소비자가 실제 생활하는 '공간'을 연출하고, 독자 개발 인공지능 플랫폼 '딥씽큐(DeepThinQ)'뿐 아니라 외부의 다양한 인공지능 기술을 탑재한 제품들을 전시했다.
'LG 씽큐 존'에서는 'LG 인공지능 제품들과 함께 하는 일상 생활'을 체험할 수 있도록 실제로 생활을 시연한다. 이를 통해 관람객들이 'LG 씽큐'의 실질적인 고객가치를 체감할 수 있도록 했다. 세탁실에선 음성인식 트윈워시를 비롯해 건조기, 스타일러 등 의류관리가전들이 서로 연동하면서 효과적으로 의류를 관리한다. 거실에서는 음성인식 에어컨과 공기청정기가 실내 공기질을 알아서 관리한다. 주방에선 음성인식 냉장고와 오븐이 냉장고에 있는 재료에 맞춰 요리를 추천하고 해당 조리기능을 자동 선택한다.
이 외에도 LG전자는 'LG 씽큐 존'에 서빙로봇, 포터로봇, 쇼핑카트로봇 등 다양한 상업용 로봇 포트폴리오를 전시해, 집안은 물론 집 밖에서도 공간의 경계 없이 이어지는 인공지능 경험을 선사한다.
◆ 차원 다른 '올레드 TV' 등 프리미엄 TV 라인업 선보여
사용자는 LG 씽큐 TV를 통해 '자연어 음성인식' 기능으로 화면모드 변경, 채널 변경, 볼륨 조절 등 다양한 기능을 손쉽게 제어할 수 있다. 사용자가 TV 기능이나 설정 변경 시 여러 차례 버튼을 눌러 복잡한 단계를 거쳐야 했지만, LG 씽큐 TV는 매직리모컨의 음성인식 버튼을 누른 뒤, "게임기에 연결해줘"라고 말하기만 하면 알아서 '외부입력' 설정을 'HDMI'로 변경해 게임기와 연결해준다.
LG 씽큐 TV는 특히 말로 콘텐츠 검색을 할 수 있어 편리하다.
LG전자는 올해 출시하는 '올레드 TV' 주요모델에 독자 개발한 화질칩 '알파9'을 장착해 보다 완벽해진 올레드 화질을 제공한다. '알파9'은 '올레드 TV'의 압도적 성능을 더욱 향상시켜 생생하고 현실감 넘치는 화질을 구현한다.
'알파9'이 적용된 '올레드 TV'는 기존제품 대비 노이즈를 절반으로 줄여 보다 깨끗한 이미지를 제공한다. 또, 영상 데이터를 분석, 명암비, 선명도, 입체감 등을 개선해 선명한 이미지를 표현한다. 7배 이상 정교한 색상보정 알고리즘을 적용, '정확한 컬러'를 구현하고, 4K 해상도의 HDR(High Dynamic Range) HFR(High Frame Rate) 영상을 지원, 화면 끌림 없는 '부드러운 움직임'을 표현할 수 있다.
LG전자는 '나노셀(Nano Cell)' 기술에 '풀어레이 로컬디밍(Full Aray Local Dimming)' 기술을 더한 '슈퍼울트라HD TV'도 선보였다.
'나노셀'을 적용한 '슈퍼울트라HD TV'는 약 1나노미터(nm) 크기의 극미세 분자가 색 파장을 정교하게 조정, 보다 많은 색을 한층 정확하게 표현한다. LG전자는 백라이트의 LED 광원을 필요한 만큼만 부분적으로 점등하는 '로컬디밍' 기술을 추가해 명암비를 높였다.
◆ 초프리미엄 가전 브랜드 'LG 시그니처' 갤러리 조성
LG전자는 'LG 시그니처' 전시존을 명품 갤러리처럼 조성해 超프리미엄 이미지를 명확히 전달할 계획이다. LG전자는 'LG 시그니처' 전시존 배경을 블랙 색상으로 꾸며 화이트 색상이 주로 쓰인 다른 전시존과 차별화했다.
또 LG전자는 세계 주요 도시의 유명 건축물과 'LG 시그니처'의 예술적 유사성을 강조한 사진 작품을 활용해 갤러리를 조성했다. 각 도시의 유명 사진작가들이 'LG 시그니처' 제품을 오브제로 활용해 사진을 촬영했고, 지난해 하반기 두바이, 시드니, 모스크바, 밀라노 등에서 개최한 'LG 시그니처' 출시 행사에서도 전시했다. LG전자는 본질에 집중한 'LG 시그니처'의 예술적 특성을 주요 도시의 건축 작품에 빗대어 강조했다.
'LG 시그니처'는 ▲기술 혁신으로 이룬 압도적인 성능 ▲본질에 충실한 정제된 디자인 ▲지금까지 경험해보지 못한 직관적인 사용성을 갖춘 LG전자의 초프리미엄 가전 브랜드다.
◆ 혁신적 성능 갖춘 IT기기·스마트폰 등 공개
LG전자는 '메리디안'과 협업한 사운드바 3종(모델명: SK10Y, SK9Y, SK8Y)을 공개했다. 이 제품은 원음을 그대로 담은 무손실 음원 파일을 재생할 수 있다. 특히, 업비트(Up-bit), 업샘플링(Up-Sampling) 기능으로 일반 음원도 최대 24비트(bit), 192킬로헤르쯔(kHz)의 고음질로 구현한다.
또 '메리디안'의 명품 사운드 기술을 접목한 포터블 스피커 'PK시리즈' 3종(모델명: PK7, PK5, PK3)도 선보했다. 'PK시리즈'는 작은 크기에도 풍성한 저음과 명료한 고음으로 공간을 꽉 채우는 소리를 낸다.
LG전자는 구글의 인공지능 비서 '구글 어시스턴트'를 탑재한 스피커 'LG 씽큐 스피커'도 출품했다. LG전자가 '구글 어시스턴트'를 탑재한 스피커를 선보인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 제품은 '메리디안'의 첨단 음향기술을 탑재, 오디오 기능을 극대화한 것이 특징이다.
LG전자는 나노 IPS를 적용한 4K(3,840X2,160)?5K(5,120X2,160)게이밍 모니터를 공개하며 모니터 분야에서도 차별화된 화질을 입증했다.
31.5형 4K '나노 IPS' 모니터(모델명: 32UK950)는 광원인 LED 램프 표면에 나노 기술을 적용, 색을 보다 정확히 표현한다.
34형 21:9 화면비 울트라와이드 모니터(모델명: 34WK95U)는 5K 초고화질 해상도를 갖췄다. 모니터 업계에서 21:9 화면비 모니터를 5K 해상도로 만든 것은 LG전자가 처음이다. 초고화질 프로젝터 'LG 4K UHD 프로젝터'는 가정용 프로젝터 최고 수준의 화질을 보여준다. 밝기는 2500안시 루멘(ANSI Lumen)으로 기존 제품보다 25% 밝으며, 150형의 대화면을 보여준다.
LG전자는 이밖에도 전략 프리미엄 스마트폰 'LG V30'의 차별적 강점을 직접 경험할 수 있도록 체험 중심의 전시부스를 운영하며 VR(Virtual Reality, 가상현실) 체험존도 연다.
또한 LG전자는 글로벌 완성차 고객을 대상으
LG전자 한창희 글로벌마케팅센터장은 "사람이 중심이 되는 '인공지능' 제품으로 시장을 선도하고, 앞선 기술력과 혁신적인 디자인의 프리미엄 제품을 통해 고객에게 차별화된 가치를 제공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디지털뉴스국 이상규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