투기과열지구 지정에도 분양열기가 좀처럼 식지 않았던 서울 분양시장은 올해 역시 정비사업 위주로 돌아갈 예정이다. 하지만 재건축초과이익환수 부활, 입주물량, 대출규제, 양도세 중과 등 규제가 많은 만큼 시장은 '시계 제로'인 상황이다.
4일 부동산인포에 따르면 올해 서울에서 공급 예정인 재건축·재개발 등 정비사업장 물량은 총 1만4844세대(조합원분 포함 4만495세대)다. 이는 작년 일반분양물량(1만4792세대)보다 0.4% 증가하는데 그쳤지만 올해 전체 일반분양물량(1만9308세대)의 76.9%를 차지할 정도로 서울 분양시장은 정비사업장을 통한 공급 의존도가 높다.
![]() |
↑ 정비사업장 분양세대 전년도 비교 [자료제공: 부동산인포] |
재건축 초과이익환수제 면제시한이었던 2일까지 관리처분인가를 신청하지 못한 사업장은 재건축으로 인한 평균 이익이 1인당 3000만원을 넘어설 경우 초과 금액의 최대 50%를 부담금으로 내야 한다. 서울시와 정비업계에 따르면 서울시내 조합이 설립된 재건축 사업장 51개, 총 3만1856세대 중 26개, 1만1731세대가 초과이익환수제의 적용을 받는다. 현재 안전진단을 신청해 재건축 의사를 밝힌 서울시내 아파트가 8만여 세대인 점을 감안하면 7세대 중 1세대꼴로 세금 폭탄을 맞게 됐다.
권일 부동산인포 팀장은 "지난해 말까지 관리처분신청 단계까지 진행된 사업장들로 인해 1~2년 정도는 재건축 일반분양물량이 급감하지 않을 것으로 보이지
[디지털뉴스국 조성신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