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뒷줄 왼쪽부터) 김희태 신용정보협회장, 이순우 저축은행중앙회장, 신용길 생명보험협회장, 김용덕 손해보험협회장, 김태영 은행연합회장, 황영기 금융투자협회장, 김덕수 여신금융협회장, 곽범국 예금보험공사사장, (앞줄 왼쪽부터) 허권 전국금융산업노동조합 위원장, 최흥식 금융감독원장,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 ... |
3일 오후 서울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2018년 범금융 신년 인사회'에서 경제·금융계 수장들의 일성이다.
신년 인사회는 은행연합회와 금융투자협회·생명보험협회·손해보험협회·여신금융협회·저축은행중앙회 등 6개 금융업권별 협회가 함께 매년 개최하고 있다.
이 자리에서 김동연 경제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은 "올해 3% 성장을 위해 금융이 제 역할을 맡아달라"고 당부했다.
그는 이어 "혁신성장은 경제·사회 등 모든 부문의 생산성과 효율성을 높여 잠재성장력을 끌어 올리는 것"이라며 "금융권도 신기술과 결합하는 등 금융산업 자체의 혁신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도 "성장세가 회복되고 금융 건전성이 양호한 지금이 한계기업의 구조조정을 추진할 수 있는 적기"라며 건실한 성장을 위한 금융사의 역할을 강조했다.
이 총재는 "모처럼 맞은 경기회복 모멘텀을 지속하기 위해 금융의 역할이 중요하다"면서 "기업의 신성장동력 발굴과 기술개발을 통한 혁신성장을 뒷받침하고 기업의 성장이 가계소득 증대로 이어질 수 있도록 고용창출 기업에 대한 지원을 아끼지 않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종구 금융위원장을 대신해 참석한 김용범 부위원장은 "가장 역점을 두고자 하는 것은 혁신성장을 위한 금융"이라며 "생산적 금융을 구체화해 정부의 혁신성장 기조를 뒷받침 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그는 "창업에서 성장, 회수, 그리고 재기에 이르기까지 기업성장 사이클에 맞춰 필요한 지원이 원활히 이뤄지도록 금융과 실물경제의 연결고리를 보다 치밀하게 만들어 나갈 것"이라며 "공적자금 지원체계를 재조정하고, 시장의 실질적 IB(투자은행) 기능을 활성화해 창업 기업이 본격적으로 성장해 나갈 수 있는 역동적 생태계 구축에 힘쓰겠다"고 말했다.
최흥식 금융감독원장은 "금융사들이 혁신분야에 원활하게 자금을 공급해 경제성장을 촉진해야 할 중차대한 임무를 수행해야 한다"며 "세심하고 과감하게 자금을 공급하고 철저한 리스크관리를 통해 신규 수익 창출의 기회를 탐색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김용태 국회 정무위원장은 금융개혁과 금융권 초일류기업 탄생을 촉구했다.
그는 "지난 10년 간 정무위원으로 일하며 가진 한 가지 소망은 대한민국 금융에서도 삼성전자와 같은 초일류 기업이 나오는 것"이라고 밝혔다.
그는 이어 "초일류기업의 탄생은 국내 산업 발전과 일자리 창출에 기여할 수 있다"며 "하지만 현 금융규제의 형식은 일이 터지면 입구를 틀어막는 방식이다. 입구는 열되 출구와 그라운드에서 잘못된 관행들을 제거하는 방식으로 규제의 틀을 확 바꿔야 한다"고 덧붙였다.
마지막으로 김 위원장은 '역수주행 부진즉퇴(逆水行舟 不進則退)'라며 한국 금융의 발전과 정진을 재차 강조했다.
이날 김태영 은행연합회장도
[디지털뉴스국 류영상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