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서울시는 전날 개최된 제22차 도시계획위원회에서 지난 5월 초안을 공개한 '2030 서울시 생활권계획안'을 조건부 가결했다고 밝혔다. 이로써 2014년 초 서울시가 생활권계획 수립에 나선 지 4년 만에 생활권계획 확정을 위한 행정적 절차가 모두 마무리된 것이다.
시 관계자는 "생활권계획 수립이 전국에서 처음인 만큼 도계위원들이 향후 시민 의견을 모니터링해서 예상되는 문제점을 보완해 나가라는 조건으로 수정가결됐다"고 말했다.
서울시 생활권계획은 서울을 5개 권역생활권(도심·동북·서북·동남·서남) 및 116개 지역생활권으로 구분한 게 핵심이다. 5개 권역생활권은 서울 도시기본계획에 따라 한강 및 남북종단 지형, 행정구역 등을 고려해 나눈 것이다. 116개 지역생활권은 서울의 424개 행정동을 3개 내외, 인구 10만명 이하 기준으로 권역을 나눠 상업시설·학교·병원 등 기초생활을 한 지역에서 해결할 수 있도록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는 세부 단위다.
권역별로 △동북권 36개 △도심권 11개 △서북권 14개 △동남권 22개 △서남권 33개로 나눴다. 성동구를 예로 들면 총 17개 행정동을 왕십리·행당, 마장·용답, 금호·옥수, 성수 등 4개 지역생활권으로 구분했다.
또 생활권계획은 2014년 수립한 '2030 서울플랜'에서 제시한 '3도심-7광역중심-12지역중심'에 '53지구중심'을 추가해 서울의 중심지 체계를 완성했다. 53개 지구중심 가운데 동북권과 서남권이 37개, 70%로 많이 선정됐다. 면적으로 따지면 새롭게 상업지역으로 추가되는 134만㎡ 가운데 동북권(59만㎡
[최재원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