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자료 제공: 주택금융공사] |
또 노년층 5가구 중 1가구는 앞으로 주택연금에 가입할 의사가 있으며 주택연금 가입기간이 길어질수록 자녀로부터 경제적 도움을 받지 않는 것으로 조사됐다.
주택연금은 만 60세 이상 주택 소유주가 9억원 이하 주택을 담보로 맡기고 평생 혹은 일정기간 동안 매월 연금방식으로 노후생활자금을 지급받는 국가가 보증하는 역모기지론이다. 주택연금 가입자의 소유 주택 가격이 높을수록 또 나이가 많을수록 연금액이 늘어나는 구조다.
주택금융공사는 노년층의 노후생활 실태 파악 등을 위해 '주택연금 수요실태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30일 밝혔다.
이 조사는 지난 6월 29일부터 8월 18일까지 주택을 소유한 만 55~84세 일반노년 3000가구와 주택연금을 이용 중인 1200가구를 대상으로 이뤄졌다.
먼저 예비노년가구(일반노년가구 중 만 55~59세에 속하는 가구)의 경우 절반 가까운 44.7%는 자녀에게 집을 물려주지 않겠다는 생각을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만 60~84세 일반노년가구의 27.5%는 보유주택을 자녀에게 물려주지 않겠다고 답했다. 이는 지난 2015년 24.3%, 2016년 25.2%에 이어 3년 연속 증가한 것이며 역대 최고치다.
만 60~84세 일반노년가구의 17.7%는 앞으로 주택연금을 이용할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이는 전년대비 3.1%포인트 증가한 것으로, 특히 예비노년가구의 주택연금 이용의향은 31.0%로 전년(22.3%)과 비교해 8.7%포인트 상승했다.
주택연금 이용가구가 자녀로부터 경제적 도움을 받는 비율은 가입유지 기간에 따라 ▲2년 24.6% ▲3년 이상~5년 미만 27.2% ▲5년 이상~7년 미만
아울러 주택연금 이용가구와 일반노년가구의 월 평균 수입을 비교한 결과, 만 75세부터 주택연금 이용가구의 월 평균 수입이 더 높아졌으며 80세 이상의 경우 최대 49만원더 많았다.
[디지털뉴스국 전종헌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