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7일 한국은행 등에 따르면 한은은 오는 30일 금통위를 열고 기준금리 인상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이날 기준금리를 올리면 한은 2011년 6월 이후 6년 5개월 만에 금리 인상 결정을 내리는 셈이다.
시장 참여자들은 한은이 기준금리 인상을 결정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지난달 금통위에서 금리인상 소수의견(1명)이 등장한 것을 사실상의 금리 인상 시그널로 본 것이다. 이 총재 역시 지난달 금통위 회의 직후 기자간담회에서 "국내 경기가 금융완화의 정도를 조정할 수 있을 정도로 성숙한 것으로 판단한다"고 밝히며 금리인상을 사실상 지지했다.
10월 금통위 의사록에서 금통위원 2명은 조만간 인상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냈다. 중립 성향으로 분류된 함준호 위원 역시 최근 기자간담회에서 금리 인상 필요성을 시사했다.
국내 경제지표 역시 긍정적인 흐름을 보이고 있어 금리인상론에 힘을 실어 주고 있다. 11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6년11개월 만에 최대치(112.3)를 기록했다. 북한 리스크가 줄어들고 중국과 긴장 관계가 풀렸기 때문으로 한은은 분석했다. 코스피 역시 올해 들어 25.56% 오르는 등 주식시장도 호황을 보이고 있다.
올해 목표하고 있는 3% 성장 역시 무리없이 달성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이달 국제통화기금(IMF)은 한국 정부와의 연례협의 결과를 발표하면서 한국의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3.0%에서 3.2%로 상향조정했다.3분기(7∼9월) 경제성장률 역시 1.4%를 기록하면서 올해 경제성장률 3% 돌파가 유력하다는 분석도 나온다.
눈덩이처럼 불어나는 가계부채 또한 금리 인상의 명분으로 작용하고 있다. 9월 말 기준 가계부채는 1419조 원으로 한은이 관련 통계를 내기 시작한 2002년 4분기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미국을 포함한 주요국들의 통화정책 결정도 한은에게는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미국 연방준비제도가 현재 1.00∼1.25%인 미국의 기준금리를 1.25∼1.50%로 인상하면 기준금리 상단이 한국(1.25%)보다 높아지는 역전현상이 일어난다. 때문에 한은이 선제적으로 통화정책을 집행하는 게 합리적이라는 시각이 지배적이다.
다만 전문가들은 최근 원·달러 환율이 계속 떨어지고 있어
앞서 한은은 지난해 6월 기준금리를 1년 만에 0.25%포인트 인하한 바 있다. 이후 한은은 1년 4개월째 기준금리를 동결해 통화정책을 이어나가고 했다.
[디지털뉴스국 김진솔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