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흥식 금융감독원장은 핀테크에 친화적인 감독환경을 만들어 나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최 원장은 15일 금감원이 서울 신라호텔에서 실시한 '핀테크 국제세미나' 개회사에서 "핀테크 혁신은 기존 금융회사의 업무 수행 방식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핀테크는 비용절감 등을 통해 금융 소외계층에 대해 실질적인 금융포용(financial inclusion)을 실현해가고 있다"며 "주요국 금융감독당국도 핀테크는 선발자 우위(first-mover advantage)가 큰 영역임을 인지하고, 적극적인 지원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최 원장은 또 핀테크로 인한 새로운 리스크에 대해서도 대비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핀테크의 리스크에 대해 국제적인 공감대가 충분하지 않다"며 "빅데이터 활용과 관련된 프라이버시 침해, 분산원장 기술로 연계된 금융회사에 의한 시스템리스크 야기 가능성 등 새로운 리스크 발생이 우려되기 때문에 빈틈없는 대비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금융감독환경에 대해서 최 원장은 핀테크 혁신에 친화적인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금융감독당국의 역할로 혁신을 저해하는 불합리한 규제와 경쟁제한 요소를 정비하고 자발적인 기술 투자와 서비스 개발을 유도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 원장은 규제준수를 자동화하는 레그테크(RegTech)의 중요성에 대해서도 재차 강조했다. 최 원장은 "금융회사와 핀테크 기업의 컴플라이언스 비용 절감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기대되므로 적극 장려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감독당국 개입을 통해 생길 수
마지막으로 그는 "국경을 초월하는 핀테크의 파급력을 감안해 국제기구 및 각국 감독당국과의 상호공조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디지털뉴스국 김진솔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