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동구청의 도시경관 재생 실험이 예산을 둘러싼 서울시와 구 사이 의견 차이로 난항을 겪고 있다.
7일 서울시에 따르면 구는 최근 '성수동 지하철 2호선 지상구간 주변 건축물 옥상경관 조성사업'을 본격화하기 위해 시범사업 예산 29억9400만원을 시에 요청했다. 성수동 지하철 지상구간 옥상경관 조성 정책은 이 지역 도시 경관을 재생할 구의 주요 추진 사업 중 하나다. 지상철 바깥으로 보이는 건물 옥상에 특색 있는 펍(Pub)이나 텃밭을 조성해 지하철을 이용하는 모든 시민에게 아름다운 경관을 제공하겠다는 취지다. 구는 사업을 시 경관협정사업으로 지정해 총사업비(내년부터 3년간 9억9800만원)를 100% 시비로 충당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서울시는 2008년 경관조례를 만들고 2009년 1월 시행규칙을 제정한 이후 경관협정사업을 시행해왔다. 하지만 시는 100% 시비 지원은 "수용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2014년 이후 경관협정 계획을 마련할 때 시와 구가 5대5 매칭으로 예산을 부담해왔다는 이유에서다. 다른 자치구와의 형평성 문제를 우려했
현재 구는 옥상 경관 조성사업을 시작하기 위해 관련 조례 개정을 추진하고 있으나 자금조달 방법이 해결되지 않으면 본격 시행이 어렵다는 입장이다.
정원오 성동구청장은 "지하철에서 보이는 경관을 바꿔 (성동구 주민뿐 아니라) 일상에 지친 서울 시민들이 영감을 얻을 수 있도록 하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김강래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