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2일 제로인에 따르면 지난 5월 KTB자산운용이 출시한 KTB글로벌4차산업1등주펀드에는 출시 두 달 만에 320억원이 몰렸다. 이 펀드는 미국, 홍콩, 중국 본토에서 사물인터넷(IoT)·가상현실(VR)·인공지능(AI)·자율주행을 선도하고 있는 각 분야 1등 주식에 주로 투자한다. 4차 산업혁명과 관련이 있는 거의 모든 분야에 돈을 태우는 셈이다.
세계 정보기술(IT) 기업에 주로 투자하는 피델리티글로벌테크놀로지펀드 역시 올해 1500억원가량을 신규로 유치했다. 될성부른 로봇산업 관련 주식에 돈을 묻는 삼성픽테로보틱스펀드에도 710억원 넘는 자금이 몰렸다. 연중 4차 산업혁명 펀드 3개에 몰린 자금만 2500억원이 넘는다.
반면 같은 기간 국내 공모형 주식 펀드에서는 4조3000억원이 빠져나갔다. 해외 주식 펀드 유출액도 1조원에 육박한다. 글로벌 증시가 고공 행진하면서 지수가 더 갈 수 있겠느냐는 우려가 커져 펀드 환매 랠리가 나오는 상황이다. 그런데도 4차 산업혁명 관련 펀드에 유독 자금이 몰리고 있어 투자자의 관심을 끄는 것이다. 손석찬 KTB자산운용 본부장은 "4차 산업혁명 붐을 올라타고 돈을 불릴 기회를 찾는 개인투자자가 관련 펀드에 큰 관심을 보이고 있다"며 "앞으로도 더 많은 펀드가 나올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펀드 수익률도 매력적이다. 지난해 12월 나온 미래에셋G2이노베이터펀드는 연초 이후 30% 가까운 수익률을 내고 있다. 지난해 8월 나온 삼성픽테로보틱스펀드와 2015년 6월 나온 피델리티글로벌테크놀로지펀드의 연초 대비 수익률도 10% 중반대에
한동안 4차 산업혁명 관련 펀드는 출시 급물살을 탈 것으로 보인다. 지난달 말 한국투자신탁운용은 기존 '한국투자 정통적립식펀드' 성격을 전환(펀드 리뉴얼)해 '한국투자 한국의 제4차 산업혁명펀드'로 이름을 바꿔 새로 출시했다.
[홍장원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