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3월 대부업 최고금리가 인하되면서 대부업체 수와 이용자가 감소하고 있지만 대출잔액은 계속 늘어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존 대형 대부업체 영업은 위축되고 있지만 채권자와 채무자를 직접 중개하는 개인 간(Peer to Peer·P2P) 대출 규모가 급증하고 있기 때문이다.
2일 금융위원회가 발표한 지난해 하반기 대부업 실태 조사에 따르면 지난해 말 기준 금융당국에 등록한 대부업자는 8654개로 지난해 6월 말에 비해 326개(3.6%) 줄었다. 같은 기간 대부업체에서 돈을 빌린 사람 역시 13만명(4.9%) 감소했다. 이는 지난해 3월 법정 최고금리가 연 34.9%에서 27.9%로 인하된 영향이 크다는 게 금융당국 측 설명이다.
그러나 같은 기간 대부업체 대출잔액은 14조4200억원에서 14조6500억원으로 소폭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현재 대부업종으로 분류되는 P2P대출이 급증했기 때문이다. P2P대출은 대출을 받으려는 사람과 돈을 빌려주는 사람이 P2P 플랫폼을 통해 직접 연결되는 시스템이다. P2P대출잔액은 지난해 6월 말 969억원에서 12월 말 3106억원으로 6개월 만에 3배 이상 증가했다. 이용자도 3062명에서 6632명으로 약 2배 늘었다.
반면 자산 100억원 이상 대형 대부업자의 경우 대출잔액이 2012년 6월 이후 처음 감소세로 전환했다. 대형
금융당국 관계자는 "이달부터 별도 업종으로 분류될 예정인 P2P대출을 제외하면 대부 거래자 수와 잔액이 정체 추세"라며 "불법 사금융 감독을 강화하고, 햇살론 등 정책 서민금융을 확대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지성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