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들어 은행 가계대출 가운데 변동금리의 비중이 높아지면서 가계의 부담이 커질 것으로 우려됩니다.
1일 한국은행의 금융기관 가중평균 금리를 보면 지난 5월 말 기준으로 예금은행의 가계대출 잔액에서 고정금리 대출은 34.6%이고 65.4%는 금융채를 비롯한 시장금리, 수신금리 등과 연동된 변동금리 대출입니다.
변동금리 대출 비중은 4월 말보다 0.1% 포인트(p) 올랐습니다.
최근 은행이 변동금리 대출 상품을 많이 판매한 영향으로 풀이됩니다.
지난 5월 은행이 새로 취급한 가계대출 중 변동금리 상품의 비중은 61.0%로 4월(56.9%)보다 4.1%p 높아졌습니다.
앞서 올해 1분기(1∼3월) 변동금리 상품의 비중(신규취급액 기준)은 59.5%로 작년 4분기(57.9%)에 비해 1.6%p 상승했습니다.
분기 기준으로 2015년 3분기(64.1%) 이후 1년 6개월 만에 최고 수준입니다.
변동금리 대출이 눈에 띄게 확대된 것은 미국 금리 상승의 영향으로 풀이됩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금리 인상 전망 등으로 국내 시장금리가 오름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은행은 수익성을 높이려고 변동금리 대출을 선호합니다.
금리가 오르면 고정금리보다 변동금리로 대출을 받은 고객으로부터 이자를 더 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한국은행 관계자는 "금리 상승기에는 고정금리 대출의 금리 상승 폭이 변동금리보다 크다"며 "변동금리 대출이 늘어난 것은 은행과 소비자의 이해관계가 맞아떨어졌기 때문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고정금리 대출의 금리가 뛰면 가계는 변동금리 상품을 선택할 개연성이 커집니다.
그동안 금융당국은 가계부채의 질적 구조를 개선하겠다며 고정금리 비중을 높이는 데 공을 들였습니다.
이에 따라 은행 가계대출 잔액에서 변동금리 비중은 2011년 말 90.7%에서 2012년 80.2% → 2013년 78.7% → 2014년 71.6% → 2015년 68.7% → 2016년 65.5%로 꾸준히 하락했습니다.
그러나 여전히 60%를 넘는 변동금리 대출은 금리 상승과 맞물려 가계의 고민을 키울 것으로 보입니다.
지난 5월 은행 가계대출의 가중평균금리는 연 3.47%로 27개월 만에
변동금리 확대는 내수 진작에도 부정적으로 작용할 공산이 큽니다.
박춘성 한국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최근 '금리유형별 주택담보대출과 경기변동'이라는 논문에서 금리가 상승할 때 변동금리·일시상환 차입자의 소비 감소 폭이 고정금리·분할상환 차입자보다 크다고 분석했습니다.
[MBN 뉴스센터 / mbnreporter01@mbn.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