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우조선 워크아웃 어떻게 ◆
채권단은 우선 생산직 인력 구조조정을 요구할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대우조선해양은 2015~2016년 희망퇴직 등으로 2000명 가까운 인력을 줄였지만 70~80%는 사무직인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1월부터 시행하고 있는 무급 순환 휴직도 사무직만 대상으로 하고 있다.
생산직·사무직 급여도 20~30%씩 삭감을 요구할 전망이다. 대우조선해양 임원 월급은 2015년 9월부터 20~30%씩 삭감됐지만 일반 직원 급여 삭감 얘기는 잠깐 나왔다가 다시 들어간 상태다. 특히 호봉이 높아 상대적으로 많은 급여를 받는 고령 생산직은 더 많은 급여 삭감을 요구받을 것으로 보인다. 차제에 효율적인 생산인력 구조로 재편해야 장기적으로 회사가 생존할 수 있다는 분석에 따른 처방이다. 지난해 말 기준 대우조선해양 직원(계약직 포함)의 평균 연봉은 6300만원으로 전년(7500만원) 대비 1200만원가량 줄어든 상태다. 문제는 노동조합의 반발이다. 노조가 생산직 인력 감축과 임금 삭감에 제동을 걸며 전면파업 등으로 맞설 경우 대우조선해양은 최악의 상황에 빠져들 수 있다. 이런 사정을 노조도 알지만 채권단과 사측 요구에 무조건 동의하기도 어려운 상황이다. 대우조선해양에 대한 추가지원 부담으로 자본건전성이 떨어질 상황에 처한 산업은행과 수출입은행의 자본확충 방식도 관심사다.
일단 지난해 말 기준 산업은행 국제결제은행(BIS) 자기자본비율은 15.22%로 국내 은행 평균(14.92%)을 웃돈다. 반면 수은은 11.15%로 국내 은행 가운데 가장 낮다. 산은의 경우, 수조 원 규모의 신규자금 지원과 충당금 적립 부담에도 당분간 버틸 여력이 있지만 수은은 자기자본비율이 10% 미만으로 떨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진단이다.
BIS 자기자본비율이 낮은 수은의 경우, 코코본드(유사시 투자 원금이 주식으로 전환되거나 상각되는 회사채) 발행과 함께 수년간 정부가 사용했던 방식인 공기업 주식 현물출자, 추가경정예산(추경) 동원 등이 거론된다. 앞서 수은은 작년 11월 5000억원 규모 코코본드를 사상 처음으로 발행한 바 있다.
또 정부는 박근혜정부 4년 동안 수은에 3조1850억원 현
[조시영 기자 / 문지웅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