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롯데쇼핑은 22일 신 전 부회장이 보유 주식 중 6.88%(173만883주)를 팔았다고 공시를 통해 밝혔다. 이에 따라 신 전 부회장 지분율은 14.83%에서 7.95%로 줄었다. 이와 관련해 신 전 부회장이 운영하는 SDJ코퍼레이션도 이날 보도자료를 통해 "신동주 회장 측이 지난 17일 롯데쇼핑 주식 일부를 블록세일(시간 외 대량매매)을 통해 매각했다"고 밝혔다.
처분가격은 22만6000원으로 블록세일을 위한 기관 수요조사 당일(16일) 종가(25만4000원)보다 8.9% 낮은 가격이다. 총매각대금은 3912억원에 달한다. IB 업계 관계자는 "블록세일이 진행된 지난 17일 외국인과 국내 기관이 롯데쇼핑 주식을 각각 101만주와 54만주 순매수했다"며 "평소 거래량이 몇 만주 수준에 그쳤던 것으로 볼 때 매물의 상당 규모를 미국과 유럽계 펀드 등 해외 기관 여러 곳이 나눠 받아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지분 매각 건과 관련해 신 전 부회장 측은 "매각 대금은 일본 광윤사의 차입금 상환, 아버지 신격호 총괄회장의 세금 대납을 위한 차입금 상환, 한국에서 신규 사업 투자 등 용도로 검토하고 있다"고 배경을 설명했다.
'일본 광윤사 차입금'은 일본 롯데가 신 전 부회장이 최대주주인 광윤사를 상대로 83억엔(약 834억원)을 빌려줬다가 받지 못했다며 반환 소송을 제기한 것과 관련이 있는 것으로 보인다. 또 '신격호 총괄회장의 세금 대답' 건은 지난달 말 신 전 부회장이 지난해 검찰 수사 과정에서 탈루가 확인된 아버지 롯데 창업주 신격호 총괄회장의 2100억여 원 증여세를 대신 낸 부분을 말한다. 신 전 부회장은 이 세금 재원을 마련하기 위해 지난달에만 롯데쇼핑 주식 250만주를 담보로 최소 2000억원 이상을 대출받은 것으로 알려졌다.
마지막으로 거론된 '한국 신규 사업 투자'에도 관심이 쏠린다. 일각에선 신 전 부회장이 롯데쇼핑 지분 매각 재원을 바탕으로 인수·합병(M&A) 등을 통해 제대로 된 기업을 사들여 본격적으로 한국 내 사업에 나서는 것 아니냐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일각에서는 2015년과 같이 형제간 경영권 분쟁이 다시 본격화하는
신 전 부회장 측도 롯데쇼핑 지분 매각에 대해 "경영권 분쟁을 포기한 것이 아니고 더욱 유리한 고지를 차지하기 위한 것"이라는 입장을 밝히고 있다. 하지만 롯데그룹 측은 "큰 의미는 없을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며 경영권 분쟁이 확대될 가능성을 일축했다.
[손일선 기자 / 강두순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