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은행은 민영화 이후 자율 책임경영을 강화하고 비이자이익 관련 사업확대를 위한 조직개편을 단행했다고 3일 밝혔다.
이번 조직개편에서는 기존 국내그룹, 글로벌그룹, 영업지원그룹을 부문으로 격상해 각 부문장의 책임경영 권한을 강화했다. 부문장은 부문 내 조직간 협업 활성화를 위한 업무조정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우리은행은 외환딜링, 파생상품 마케팅 등 비이자이익 관련 사업확대를 위해 자금시장사업단을 그룹으로 격상했다. 또한 자산관리와 신탁 시장이 급성장함에 따라 WM사업단과 연금신탁사업단을 각각 그룹으로 격상했다.
우리은행은 조직개편과 함께 부문장 1명, 부행장 6명, 상무 8명 등 15명의 임원 승진인사를 실시했다.
3개 부문 중 하나인 영업지원부문장에는 정원재 전 기업고객본부 부행장을 승진 발탁했다.
기업그룹 부행장에는 IB영업와 기업금융에 경험이 많은 장안호 전 HR지원단 상무, 기관그룹 부행장에는 기획력과 다양한 인적 네트워크를 보유한 조운행 전 업무지원단 상무, IB그룹 부행장에는 국제금융 경험과 홍보·IR을 담당했던 권광석 전 대외협력단 상무, 여신지원그룹 부행장에는 여심심사·기업구조조정 전문가로 지난해 부실채권 감축 목표를 달성한 김선규 전 기업금융단 상무가 각각 승진했다.
경영기획그룹 부행장에는 은행 내 전략가·기획통인 신현석 전 경영기획단 상무가, 준법감시인(부행장)에는 세무업무 경험이 많고 원칙 중심으로 내부통제를 담당해 온 박성일 전 준법감시인 상무가 승진했다
우리은행 관계자는 "이번 조직개편은 민영화 이후 달라진 경영환경과 1등 종합금융그룹으로의 재도약을 위해 자율 책임경영을 강화하고 기업가치를 높이는 것이 목적"이라며 "인사 또한 적재적소에 최고의 결과를 낼 수 있는 임원들로 배치한 것"이라고 말했다.
[디지털뉴스국 전종헌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