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18일 오전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전국은행연합회, 금융연구원, 금융연수원, 국제금융센터, 신용정보원 등 금융업계 5개 유관기관 주관으로 열린 출입기자 신년 간담회에서 하영구 은행연합회장이 발언하고 있다. [사진제공 = 은행연합회] |
18일 서울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신년 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맡은 하영구 은행연합회장은 "미국 금리 인상과 국내 탄핵정국, 4차 산업혁명 도래에 따른 불확실한 금융시장에서 은행산업이 살아남기 위한 필수 과제는 철저한 리스크 관리"라며 "대출자산 불리기 중심의 과당경쟁에서 벗어나 자기자본이익률(ROE) 중심의 내실있는 가치경영, 신탁·자산관리 등 신성장동력 확보와 글로벌 시장 진출 가속화, 노력과 성과에 따라 보상받는 성과주의 문화 정착에 주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핀테크 시대에 맞는 은행권의 적극적인 대응도 주문했다. 하 회장은 "올해 인터넷전문은행이 영업을 시작하고 P2P대출, 해외송금 같은 핀테크 산업의 위력이 본격적으로 발휘될 것"이라며 "핀테크와의 공생과 공유를 통해 고효율의 새로운 은행의 모델로 탈바꿈해 가야 한다"고 주장했다.
최근 탄핵 정국 탓에 금융업계 성과연봉제 도입이 주춤하지 않겠냐는 지적에 대해 하 회장은 "성과연봉제는 특정 정권 차원의 문제가 아니라 급변하는 시장 환경에서 은행이 버틸 수 있을지를 결정하는 생존의 문제"라며 "현재 호봉제에서 지속적으로 늘어나는 인건비 문제를 고치지 않고서는 국내 경제 역시 활력을 찾을 수 없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간담회에서는 경제상황이 취약한 차주가 주택담보대출을 연체할 경우 최대 1년간 채무를 유예해주는 등 최근 금융위원회가 발표한 취약차주 우대 정책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제기됐다. 현재 시중은행들은 이 정책이 일방적인 은행권의 희생을 요구하는 것이라며 반발하는 상황이다.
신성환 금융연구원장은 "차주의 부담을 완화한다는 원칙과 개별 금융사의 의사결정에 금융당국이 개입하면
이날 행사에는 하 회장과 신 원장을 비롯해 민성기 한국신용정보원장, 조영제 금융연수원장, 이상우 국제금융연구원 부원장이 참석했다.
[김태성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