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20일 부동산업계와 성북구청에 따르면 최근 실시한 장위뉴타운 8·9·11구역 정비사업 유지 여부를 결정하는 주민투표에서 찬성률이 세 곳 모두 50%를 넘지 못했다. 관련법에 따르면 주민투표 찬성률이 절반을 넘지 못하면 뉴타운 정비구역에서 해제하도록 하고 있다.
성북구청 관계자는 "주민투표를 지난 9일 마감했는데 찬성률이 3개 구역 모두 41~45%가량 나왔다"며 "해제 의견을 서울시에 전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장위 8·9·11구역이 해제되면 15개 장위뉴타운 구역 중에서 사업이 취소된 곳은 5개로 늘어난다. 장위 12·13구역은 2008년 조합 추진위원회를 구성한 이후 주민 갈등으로 조합 설립·추진위 단계에서 한 발짝도 나아가지 못해 2014년 정비구역에서 풀렸다.
장위뉴타운(면적 187만여 ㎡·총 2만4000여 가구)은 2005년 재정비촉진지구로 지정되며 재개발 사업이 시작됐다. 지하철 6호선 돌곶이역·상월곡역, 지하철 1호선 석계역과 가깝고 북서울꿈의숲 등 여러 공원과 인접해 있어 재개발 가능성이 높다는 평가를 받았다.
하지만 도로 등 기반시설이 열악해 사업비가 늘어나고, 뉴타운 지정 이후 부동산 경기가 내려가 가구당 수억 원에 이르는 추가분담금까지 생기면서 사업이 지지부진해졌다.
전문가들은 이번에 3개 구역이 추가로 해제되면 장위뉴타운 사업성 전반에 나쁜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보고 있다. 일단 뉴타운 구역이 취소된다면 서울시가 저층 개발 등 도시재생 사업을 일정 부분 지원하지만 난개발의 위험은 피할 수 없는 상황이다. 특히 이번에 해제될 구역들은 장위뉴타운에서 중요한 위치에 있었다. 8구역과 9구역은 15개 뉴타운 구역 중에서 중심에 위치해 있고, 11구역은 돌곶이역 역세권이라 입지가 좋은 편이라는 평가를 받았기 때문이다.
장위뉴타운에 위치한 A공인중개업소 관계자는 "3개 구역이 동시에 해제된다면 뉴타운 우측과 좌측이 절반으로 찢어져 사업 전체 구도가 흔들릴 위험이 있다"며 "3개 구역 모두 1000~2000가구에 이르던 대규모 개발 지역이기 때문에 타격이 클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8구역 같은 경우는 중심지인 데다 완전한 평지에 자리를 잡고 있어 입지가 훌륭하다는 평가가 있었는데 아쉬운 측면이 있다"고 설명했다.
물론 장위뉴타운 사업성이 타격을 입겠지만 아주 크진 않을 것이라는 반론도 나온다. 지난해 장위2구역(꿈의숲 코오롱 하늘채)에 이어 삼성물산이 시공과 분양을 맡은 1구역(래미안 장위 포레카운티)과 5구역(래미안 장위 퍼스트하이)도 올 8월과 9월 성공적으로 분양을 마쳐 이 지역에 대한 수요자들 관심이 올라가고 있다는 설명이다.
실제로 이들 3개 구역 다음으로 사업 진척이 빠른 장위 7구역 조합원 물건엔 벌써 약 5000만원의 웃돈이 붙었다. 현대산업개발이 시공을 맡은 이곳은 6월 관리처분총회를 마치고 관리처분인가를 기다리고 있다.
B공인중개업소 관계자는 "장위뉴타운 지역은 북서울꿈의숲 등 녹지공간이 많은 데다 동북선 경전철 조성 등 교통 측면으로도 호재를 갖고 있다"며 "대규모 아파트 브랜드촌으로 탈바꿈하고 있는데 상대적으로 다른 지역보다 낮게 평가받고 있는 부분에서 가능성이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구역마다 사업 추진 속도가 너무 다르기 때문에 투자에 유의해야 한다는 지적이
부동산 업계 관계자는 "구역마다 상황이 많이 다르기 때문에 개발이 완료되기까지 상당한 시간이 걸릴 것"이라며 "사업성이 있는지 등을 꼼꼼히 따져 봐야 한다"고 강조했다.
[손동우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