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직원공제회를 비롯한 공제회와 미래에셋자산운용 등 자산운용사들도 기관투자가 의결권행사 지침인 ‘스튜어드십코드(Stewardship Code)’를 도입키로 했다. 국내 최대 기관투자가인 국민연금이 기금운용본부 차원에서 스튜어드십 코드 도입에 대해 긍정적 입장을 밝히면서 다른 기관들도 도입을 위한 결정에 힘을 받는 모양새다.
13일 자산운용업계에 따르면 전체 운용자산(AUM) 규모가 90조원으로 국내 최대 독립계 자산운용사인 미래에셋자산운용이 스튜어드십코드 도입을 적극 추진하고 있다. 미래에셋운용 고위 관계자는 “투자기업의 건전한 경영을 유도하고 결과적으로 투자자 이익을 우선시하는 측면에서 스튜어드십코드 도입이 필요하다고 보고 적극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국내 자산운용사 가운데 스튜어드십코드 도입 의사를 밝힌 것은 미래에셋이 처음이다.
국민연금에 이어 민간 최대 자산운용사인 미래에셋운용이 도입 의지를 밝히면서 스튜어드십코드는 기업 경영개입 논란에도 불구하고 주주이익 강화 차원에서 빠른 속도로 정착될 전망이다. 최순실 국정농단 사태에서 드러난 대기업들의 재단 불법 출연에 대한 사회적 비판여론이 거세진 상황이어서 도입을 미루기 쉽지 않다는 게 업계 반응이다.
KB자산운용도 스튜어드십코드 도입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최웅필 KB운용 주식운용본부장은 “스튜어드십코드에 대해 수탁자 입장에서 위탁자의 권리를 최대한 행사해 주주가치 훼손을 충분히 견제하라는 의미로서 받아들이고 있다”면서 “절차상 어려움도 있겠지만 도입 자체에 대해 긍정적 입장”이라고 말했다.
다만 대기업 계열사인 삼성자산운용과 한화자산운용은 오는 16일 한국기업지배구조원 최종 발표안을 보고 도입 여부에 대한 입장을 내놓겠다며 상대적으로 신중한 입장이다. 조직 문화가 보수적인 한국투자신탁운용도 “아직은 검토한 바가 없다”면서 조심스런 반응을 나타냈다.
주요 공제회들도 스튜어드십 코드 도입을 잇달아 검토하고 있다. 가장 적극적인 곳은 행정공제회다. 행정공제회는 연내 의결권 외부자문기관을 선정하고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스튜어드십 코드를 도입할 계획이다. 장동헌 지방행정공제회 사업부이사장(CIO)은 “최근 삼성물산 합병 논란으로 기관투자가들의 의결권 행사가 중대 사안으로 떠올랐다”면서 “그동안 자체적으로 의사 결정을 해왔지만 스튜어드십코드 도입을 계기로 전문성을 강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행정공제회는 지방직 공무원의 복지를 위해 설립된 공제회로 지난해말 기준 운용자산 규모가 8조2196억원에 달한다.
운용자산 기준 공제회 1·2위인 교직원공제회(26조6601억원)와 군인공제회(9조4829억원)도 스튜어드십코드 도입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다. 이상호 군인공제회 부이사장(CIO)도 “스튜어드십 코드 도입을 긍정적으로 보고 이제 막 검토에 착수했다”고 말했다.
기관투자자들이 스튜어드십코드를 도입하게 되면 의결권 행사때 찬반 의견을 결정한 사유까지 공개해야 하기때문에 이전보다 보다 적극적으로 반대 의결권을 행사할 수밖에 없을 전망이다.
금융감독원 집계에 따르면 지난해 정기주주총회 기준 국내 자산운용사 50곳의 반대의결권 행사 비율은 3.8%로 외국계 자산운용사 11곳의 23.8%에 비해 6분의 1 수준으로 낮은 상황이다.
■ <용어 설명>
▷ 스튜어드십 코드(Stewardship Code) : 주주이익을 위
[최재원 기자 / 송광섭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