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7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금융위원회는 사모투자 재간접공모펀드 제도 도입 내용이 담긴 시행령을 법제처에 제출해 심사를 받고 있다. 당초 금융위는 지난 5월 '펀드 상품 혁신 방안'에서 이 같은 내용을 발표한 바 있다. 연내 도입하는 것이 목표다.
이 제도는 공모펀드 시장의 부진으로 사모펀드에 대한 개인 투자자들 관심이 높아짐에 따라 개인 투자자들도 소액으로 사모펀드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도입된다. 이 제도가 도입되면 개인 투자자들은 500만원부터 사모펀드를 담은 재간접공모펀드에 투자할 수 있다. 현재 사모펀드의 최소 투자금액은 1억원이어서 고액 자산가들의 전유물처럼 여겨지고 있다.
하지만 취지와 달리 삼성·미래에셋·한국투자신탁운용 등 국내 대형 자산운용사들 반응은 미지근하다. 제도를 이해하고 상품을 구상하기 위해 관련 스터디를 진행 중이지만 대부분 내용을 완전히 이해하기 어렵다고 입을 모은다. 투자자에게나 운용사에나 돌아갈 실익도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는 설명이다. 당장 상품을 내놓기보다는 타 운용사들 반응을 먼저 보겠다며 눈치 작전을 펴고 있다.
한 자산운용사 관계자는 "좋은 상품이긴 하지만 상품을 만드는 것 자체에 어려움이 많아 서두르지 않고 있다"며 "상황을 좀 주시할 생각"이라고 말했다.
먼저 재간접펀드를 설정하는 자산운용사 입장에서는 재간접펀드에 5개 이상의 사모펀드를 담아야 하는데 현재로서는 재간접으로 담을 만큼 규모가 있고 안정적인 사모펀드를 5개 이상 찾아내기가 쉽지 않다는 설명이다.
한 자산운용사 관계자는 "좋은 사모펀드들을 골라내 담는 것이 핵심인데 이것이 가장 어렵다"며 "사모펀드들은 대부분 정보를 공개하지 않기 때문에 펀드의 자세한 정보를 알기가 어려워 접근 자체가 쉽지 않다"고 말했다.
사모펀드 가운데 가장 인기가 많은 헤지펀드의 경우 삼성자산운용의 헤지펀드가 순자산의 2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타임폴리오, 미래에셋자산운용 등도 순위권에 속한다. 담을 만한 상품 자체가 많지 않은 것이다.
이에 금융당국은 자사 헤지펀드만 담는 것도 허용하겠다는 입장을 내놨다.
금융위 관계자는 "동일 운용사 펀드 집중 투자 제한 규제를 특례로 면제시켰기 때문에 자사 헤지펀드로만 포트폴리오를 구성한 재간접공모펀드 설정도 가능하다"며 "다만 한 펀드당 투자할 수 있는 제한은 20%로, 최소 3개 펀드는 담아야 한다"고 말했다. 현재 이 요건을 충족시킬 수 있는 곳은 삼성·미래에셋·대신자산운용 등 6곳이다.
하지만 이에 대한 반응도 그리 좋지는 않다. 한 자산운용사 관계자는 "헤지펀드는 성과 보수를 내는 수익자들에 초점을 맞춰 운용해야 하기 때문에 규모 확대를 꾀하기보다는 성과를 잘 내는 데 집중해야 한다"며 "그런데 공모펀드를 통해 자금을 받게 되면 규모가 커질 수밖에 없기 때문에 기존 수익자에게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실제로 대부분 국내 헤지펀드들은 지나친 유동성 유입에 따른 수익률 훼손을 막기 위해 추가 자금 유입을 막는 '소프트 클로징(soft closing)'을 하고 있다. 투자를 하고 싶어도 더 할 수 없다는 한계점이 있는 것.
이 자산운용사 관계자는 이어 "공모형으로 만들면 현재 헤지펀드보다 더 보수적이고 안정적으로 운용해야 할 텐데 이렇게 변동성이 작은 펀드 자체가 많지 않아 상품으로 만들기가 쉽지 않다"고 덧붙였다.
또 다른 자산운용사 관
[김효혜 증권부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