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로써 현재 거래정지 상태인 대우조선해양의 자본잠식이 연내 해소되고 이 회사의 주식거래가 내년 3월 재개될 것으로 정부와 채권단은 내다봤다.
1일 이동걸 KDB산업은행 회장(사진)은 서울 여의도 산은 본점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작년 10월 수립한 4조2000억원 범위에서 산은과 수출입은행이 시장의 예상을 상회하는 수준으로 최대한 자본 확충을 실행하는 것에 대해 큰 틀에서 합의했다"고 말했다. 그는 "최대한 신속히 (자본 확충을) 마무리해 내년 3월 이내에 (대우조선해양) 주식거래가 재개될 수 있는 여건을 만들겠다"고 강조했다.
대우조선해양의 최대주주이자 주채권은행인 산은이 수출입은행의 대우조선해양 자본 확충 참여를 공식화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수출입은행의 자본 확충 참여 방식은 1조원 규모의 영구채 인수로 가닥이 잡혔다. 대우조선해양 자본 확충 방안 논의 초기인 지난달 산은과 금융당국은 산은과 수출입은행이 각각 1조8000억원, 1조1000억원 규모의 출자전환에 나서는 방안을 추진해왔다. 대우조선해양으로선 부채가 은행 주식으로 전환되면서 부채비율이 낮아지고 자본잠식 상태에서 벗어날 수 있다.
하지만 수출입은행과 이 은행의 주무부처인 기획재정부가 법령 미비를 이유로 출자전환에 난색을 표명하면서 영구채 매입으로 방향이 전환됐다.
영구채는 주식과 채권의 중간적 성격을 지닌 신종 자본증권으로, 채권처럼 매년 이자를 받지만 주식처럼 만기 없이 매매할 수 있다. 만기가 30년 이상으로 길어 국제회계기준(IFRS)상 자본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대우조선해양으로선 영구채를 발행해도 부채비율이 늘어나지 않는다.
대우조선해양이 발행하는 1조원의 영구채를 수출입은행이 사들이면 대우조선해양은 영구채 매각대금으로 수출입은행 대출을 상환한다. 이로써 대우조선해양 부채비율은 낮아지게 된다.
자본 확충 효과는 비슷하지만 영구채 매입은 출자전환과 달리 수출입은행의 위험 부담이 크게 줄어든다. 출자전환은 수출입은행이 갖게 될 대우조선해양 주식의 평가손실에 따라 수출입은행 자체의 자기자본비율(BIS비율)이 낮아져 향후 수출입은행에 대한 정부 재정 투입이 불가피하다. 수출입은행과 기재부가 출자전환 방식에 반대한 이유다.
반면 산은과 금융위원회는 채
[노승환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