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지난 9월 27일 열린 '제1회 미래건축포럼'에서 발표를 맡은 황승호 현대자동차그룹 부사장은 자율주행을 비롯한 미래 자동차 기술이 건축과 도시설계의 변혁을 불러올 것임을 예고했다. 그는 "근대 도시는 철도망과 자동차 도로 위주로 발달해 왔는데 자율주행자동차의 등장으로 도시의 물리적 한계가 줄면 도시와 건축물은 보행자·입주민 중심 공간으로 변모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현재 자율주행자동차는 현대자동차, BMW 등 완성차 업체와 구글, 우버 등 ICT 업체가 열을 올리고 있다. 올해 미국의 전자제품박람회인 CES에서 포드와 기아가 자율주행차를 공개했고 BMW와 폭스바겐은 각각 삼성전자, LG전자와 연계해 스마트홈 연동 시스템을 선보였다. 황 부사장은 "자동차 판매가 수입원인 완성차 업체는 안전 중심으로 자율주행 도입을 점진적으로 진행하는 데 반해, 자율주행차 서비스 운영을 수입원으로 잡고 있는 ICT 기업은 바로 완전한 자율주행을 목표로 한다"며 이들 간의 차이를 구분하고 "현재 자동차 보유기간 중 실제 활용시간은 5% 정도에 불과하지만 자동차에 IoT(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카세어링 등 기술이 접목되면 활용도가 높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황 부사장의 발표에 이어 건축 전문가들이 자율주행 등 자동차 신기술이 건축물과 도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토론을 벌였다. 토론에는 황승호 부사장과 함께 정영균 희림건축 대표, 김성아 성균관대 건축학과 교수, 김지엽 아주대 교수, 이재용 국토연구원 센터장이 참여했고 김도년 국가건축정책위원회 위원이 사회를 맡았다.
![]() |
자율주행 도입으로 사람들이 운전하는 시간에 손이 자유로워지면 자동차는 주거·업무 공간으로 변모할 전망이다. 정영균 대표는 "오피스 건물은 이런 업무 유닛 자동차들의 모이는 공간이 될 수 있다"면서 "개인적인 업무는 각자 자신의 자동차에서 해결하고, 고가의 공용 설비가 필요하거나 공동작업이 필요한 업무만 각 자동차 유닛들이 모이는 형식의 오피스 공간이 생겨날 것"이라고 전망했다. 패스트푸드점의 드라이브인 시스템처럼 차를 타고 업무를 보는 형태의 공공청사도 제안됐다.
![]() |
전문가들은 자율주행, 전기자동차 등 신기술에 맞춘 건축·도시 계획이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스마트시티 중앙관계시스템이 IoT 기술이 접목된 자동차의 정보를 취합하면 교통 효율성을 극대화할 수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이재용 국토연구원 센터장은 "자율주행자동차 혼자 경로를 정하는 것보다 네트워크를 통해 스마트시티 제어센터에서 모든 차들의 정보를 통합해 효율적인 경로를 지정해주면 도시 전체 소통이 원활해질 수 있다"면서 "이런 기술이 도입되면 자동차는 사유물보다는 공공재 성격이 강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황승호 부사장은 "현재는 전기차가 보급되고 있지만 아파트 단지에는 충전 인프라가 갖춰지지 않은 곳이 많아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면서 "지능형도로교통시스템(ITS)과 전기자동차 충전 인프라가 도시·건축 계획단계부터 고려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 |
[이윤식 부동산부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