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신한, 우리, 하나 등 시중은행들이 수수료 장사로만 연간 7조원에 달하는 수입을 거둬들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과도한 수수료가 가계경제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는 지적과 함께 수수료 개편 필요성이 제기된다.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김해영 의원이 26일 금융감독원으로부터 제출받은 ‘은행권 수수료 수익구조 현황’을 분석한 결과, 2013년부터 2015년까지 3년 동안 시중은행이 얻은 수수료 수입은 총 20조원에 이르는 것으로 집계됐다.
연도별로는 2013년 6조8000억원, 2014년 6조7000억원, 2015년 6조7000억원을 수수료 장사로만 벌어 들였다.
수수료별 수입(2013~2015년)을 살펴보면 CD/ATM수수료의 경우 4953억원에 이르며, 대출자가 대출금을 빨리 갚아 발생하는 대출금조기상환수수료는 1조1661억원으로 파악됐다.
이 외에도 방카슈랑스판매수수료(보험 판매 수수료) 2조610억원, 수익증권판매수수료 1조8471억원, 기타신용카드수수료 1조721억원, 전자금융이체수수료 7985억원, 프로젝트파이낸싱수수료 4152억원 등으로 구성됐다.
김 의원은 특히 “국내 은행권은 2015년 3조5000억원의 당기순이익을 얻어 2000년 이후 최저 수준”이라고 지적하
그러면서 김 의원은 “은행업계의 과도한 수수료는 국민들에게 부담으로 작용한다”며 “합리적인 수수료 기준이 마련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디지털뉴스국 전종헌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