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거래소가 아시아 증시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공정 거래를 사전에 막기 위한 '공동 시장감시 협의체'를 최초로 만든다. 최근 아시아 거래소 간 교차 상장으로 연계 거래가 급증하고 있는 데 따른 것이다. 예를 들어 2010년 11월 도이치증권 홍콩지점이 옵션 차익을 얻기 위해 대규모 매도를 단행해 국내 유가증권시장을 폭락시킨 '도이치 옵션 쇼크'가 또다시 발생하는 것을 사전에 막겠다는 취지다. 일각에서는 국제협력체계가 마련된 것은 환영할 만한 일이지만 6년이나 지난 후 뒤늦게 대응에 나서 아쉽다는 비판도 나온다.
한국거래소는 13일부터 사흘간 여의도 서울사무소에서 '제1회 아시아 자율규제기관 세미나'를 개최한다고 12일 밝혔다. 한국거래소 시장감시위원회가 아시아 간 협력기구가 필요하다는 최초의 제안에 동남아시아 7개국을 포함한 11개국, 14개 거래소가 참가한다.
이해선 거래소 시장감시위원장은 "아시아 국경을 초월한 거래가 늘어나는 것에 대비해 시장 감시 체계가 필요하다는 데 중국, 일본을 포함한 11개 국가가 동의해 이번 세미나를 마련했다"며 "거래소 간 불공정 거래 관련 정보 교류가 활발해지면 도이치 옵션 쇼크 같은 사고를 사전에 예방하고, 사후 처리를 신속하게 진행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실제로 홍콩 H지수선물과 인도 S&P센섹스 지수선물 등이 국내에 상장돼 아시아 국경을 넘나드는 현·선물 거래가 급증하면서 불공정 거래에 노출될 가능성도 높아졌다.
이 위원장은 "기존 시장감시그룹(ISG)이 존재하지만 미국·유럽 중심이라 역할에 한계가 있다"며 "특히 한국과 중국은 개인투자자 비중과 회전율이 높은 데다 후강퉁에 이어 선강퉁이 개시되면 연계 거래가 늘어날 것으로 예상돼 시장감시 공조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이번 회의에 앞서 거래소는 협의체에 참가한 아시아 11개국의 법제를 전수조사해 불공정 거래 규제 관련 정보 교환이 어디까지 가능한지도 검토했다. 이 위원장은 "국제증권감독기구(IOSCO)가 공적인 감독정보를 교환하고 있지만 실시간 시장 정보를 교환하는 데는 역부족"이라며 "자율규제 차원에서 거래소 간 '다자간 양해각서(MMOU)'를 체결하면 훨씬 효율적으로 아시아 권역 내 시장감시를 활발히 할 수 있다"고 강조했다.
이번 세미나에서는 또 20주년을 맞은 코스닥시장을 예로 들어 중소·벤처 중심의 신흥시장에서 발생할 수 있는 불공정 거래의 사례와 규제 방안을 공유할 예정이다. 이
[배미정 기자 / 채종원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