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일 펀드평가사 제로인에 따르면 최근 1년 수익률이 -10% 이하인데도 위험등급이 4등급(보통 위험)으로 분류된 국내외 주식형펀드는 모두 35개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이 가운데 수익률이 -15% 이하인 펀드도 17개나 된다. 지난 4일부터 금감원이 새롭게 시행한 펀드위험등급 제도에 따라 위험도가 크게 떨어졌지만 투자자 성향 분류에 따르면 4등급은 '위험중립형' 투자자에게 추천하는 중위험·중수익 상품이어야 한다. 4등급이면 전체 6단계 위험등급 중 세 번째로 안전해야 정상이다.
1년간 두 자릿수 손실을 기록하고도 중위험 상품으로 분류된 펀드들은 주로 최근 변동성이 극심했던 지역이나 상품에 투자했다. 국내 중소형주 펀드인 '현대인베스트먼트중소형배당', 중국에 투자하는 '한국투자중국고배당인컴솔루션', 브릭스 국가들에 투자하는 '신한BNPP해피라이프연금브릭스' 등은 모두 연간 -17~-16% 손실을 기록하고도 4등급으로 재분류됐다. 10년 만기 국공채에 주로 투자하는 'NH-Amundi Allset 국채10년 인덱스'(6개월 수익률 6.27%, 1년 수익률 11.29%)가 해당 펀드들과 같은 4등급으로 분류돼 있는 점을 감안하면 잣대가 모호하다는 지적이다.
이 밖에도 수익률과 무관하게 위험등급을 받은 펀드들이 많다. 1년 수익률이 -30%를 넘나드는 중국H주 인덱스펀드들은 과거 1등급이었지만 개편 후엔 오히려 초고위험(1·2등급) 상품에서 벗어나 고위험(3등급)으로 분류됐다. 1년간 -20%, 3년간 -42%를 기록 중인 한 원자재펀드는 장기간 손실이 커지고 있는데도 오히려 위험등급(1등급→3등급)이 낮아졌다. 국내 한 연금가치주 펀드는 1년간 -14%, 3년간 22%로 들쭉날쭉한 성과를 기록했지만 5등급(낮은 위험) 판정을 받았다. 5등급은 노령층 등 안정추구형 투자자에게 주로 추천하는 상품이다. 업계 관계자는 "변동성만으로 위험등급을 평가하면 손실이 꾸준히 나도 그 폭만 단기적으로 확대되지 않으면 초고위험 펀드에서 벗어나는 구조"라고 설명했다.
새롭게 분류된 위험등급이 펀드 성과와 큰 괴리를 보이는 이유는 금감원의 분류 기준에 있다. 3년이 경과한 펀드는 투자대상 자산이 아니라 최근 3년간 수익률 변동성을 기준으로 등급을 산정한다. 최근 1년 새 급등락한 자산이라도 해도 과거 2년치 수치가 좋았다면 변동성이 희석될 수 있는 것이다. 수익률 변동성 기준 역시 투자자 성향을 파악하는 척도와 멀다는 지적도 나온다. 새로 발표된 위험등급 수익률 변동성(연환산)은 1등급이 '25% 초과', 2등급은 '25% 이하'인 반면 증권사·은행 창구에서 조사하는 투자자의 수익 및 위험에 대한 태도(목표수익률)를 묻는 5개 척도의 최대치는 '±15% 초과'다. 투자성향상 위험중립형(4등급) 투자자의 목표수익률은 ±7~10% 수준이지만 실제 4등급으로 조정된 주식형펀드 중에는 연간 손실이 -15%를 밑도는 펀드들이 포함돼 판매 채널과 투자자 모두 혼란을 빚을 수 있다.
일
삼성자산운용 관계자는 "KODEX레버리지 같은 상품은 1등급 변동성 기준에 해당되지 않지만 위험도가 높은 상품이어서 등급을 상향 조정하는 쪽으로 논의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용건 기자][ⓒ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