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 서울시장은 5일 “아파트가 꼭 35층 이상이 돼야 행복하게 된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면서 “35층 층고제한 문제는 서울2030플랜에 따라 원칙적으로 지켜져야 한다”고 밝혔다.
박 시장은 이날 민선6기 취임2주년 기자간담회에서 남은 임기 중에 35층 최고 층수 제한에 대해 다시 검토할 생각이 있느냐는 질문에 이같이 답했다. 그는 용산 4구역, 잠실5단지 등을 예로 들며 “지역과 상황에 따라 맞춤형 개발이 이뤄져야 한다”면서도 “서울2030플랜은 법정 최상위 계획이고 시민들이 결정한 것”이라며 35층 층고제한을 풀 의사가 없음을 분명히했다.
서울시는 서울2030플랜에 담긴 한강변관리기본계획에 따라 한강변 주거지역의 최고 층수를 일률적으로 35층으로 제한하고 있다. 하지만 재건축을 원하는 압구정동 주민 등 한강변 아파트 주민 상당수가 최고 층수 제한이 창의적인 건축물을 설계하는데 제약으로 작용해 성냥갑 아파트 문제를 야기한다는 입장이다.
강남엔 재건축 열풍이 불고 있는 반면 강북은 재개발 사업이 지지부진하고 뉴타운 지정 해제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커지는 등 상대적 박탈감을 느끼고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다는 지적에 대해 박 시장은 “강북이 살기에 불편한 곳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면서 “북촌, 서촌, 이화동, 행촌동, 부암동 등 한양도성을 중심으로 노후된 지역들이 개선되며 사람들이 몰려들고 집값이 올라가며 강남주민들이 이사오고 있다” 말했다. 이어 “앞으론 강북의 시대가 점차 열리고 있다”면서 “강북엔 고층의 화려함이 아니라 자연과 역사와 사람이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박 시장은 “서울 주거시설의 50%가 아파트, 거주민의 70%가 아파트에 산다”면서 “서울이 아파 공화국이 돼선 안된다”고 덧붙였다.
박 시장은 시장 재임기간 눈의 띄는 프로제트가 없다는 지적에 대해서도 “속도가 아닌 방향이 중요하다”면서 “수직적 랜드마크가 아니라 서울이 가진 자연, 역사, 사람의 가치가 서로 어울린 수평적 랜드마크를 만들고자 했다”고 말했다.
그는 그러나 사람이 중심이 되는 도시개발을 추구하면서도 서울의 미래 도
[김기정 기자 / 백상경 기자]
[ⓒ 매일경제 & mk.co.kr,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